Browse "Graduate School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과학기술정책대학원)" by Type Article

Showing results 179 to 217 of 217

179
노년기 운전중단 결정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최문정; 오학준; 서이종, 한국노년학, v.38, no.3, pp.593 - 605, 2018-08

180
노인과 로봇은 어떻게 만나는가: 상호작용의 조건과 매개자의 역할

신희선; 전치형, 과학기술학연구, v.18, no.2, pp.135 - 179, 2018-07

181
뉴턴의 프린키피아

김동원, 과학사상, v.3, pp.219 - 230, 1992

182
디지털전환 시대 비판적 국제개발협력을 위한 이론적 고찰

박경열, 국제개발협력연구, v.14, no.2, pp.1 - 20, 2022-06

183
리바이어던과 브뤼노 라투르: 행위자 네트워크의 해체 가능성에 대하여

박범순, 과학기술과 사회, v.4, pp.49 - 83, 2023-06

184
맥스웰 시기의 캐븐디쉬연구소, 1871-1879

Kim, Dong-Won, 한국과학사학회지, v.12, no.1, pp.70 - 105, 1990

185
미적분법의 발명을 중심으로 살펴 본 과학혁명기의 기하학과 대수학의 관계

김동원, 한국수학사학회지, v.10, no.2, pp.1 - 10, 1997-12

186
미적분법의 발명을 중심으로 살펴본 과학혁명기의 기하학과 대수학의 관계

김동원, 한국수학사학회지, v.10, pp.1 - 10, 1997

187
보건의료서비스가 강화된 통합돌봄 혁신모형의 제안

김창오; 장숙랑; 남일성; 서동민; 신동수; 유원섭; 윤주영; et al, 장기요양연구, v.10, no.3, pp.87 - 129, 2022-12

188
사람키우기(1): J.J.톰슨과 러더포드

김동원, 화학세계, v.40, no.3, pp.82 - 85, 2000-01

189
사람키우기(2): 러더포드와 그 제자들

김동원, 화학세계, v.40, no.4, pp.73 - 77, 2000-01

190
사람키우기(3):세대간의 가교, 닐스 보어

김동원, 화학세계, v.40, no.5, pp.66 - 69, 2000-01

191
사람키우기(4):미국 화학계의 아버지, 길버트 뉴턴 루이스

김동원, 화학세계, v.40, no.6, pp.68 - 71, 2000-01

192
사람키우기(5):일본물리학사에 새로운 장을 연 니시나 요시오

김동원, 화학세계, v.40, no.7, pp.64 - 68, 2000

193
사람키우기(I)-J.J.톰슨과 러더포드

김동원, 화학세계, v.40, no.3, pp.82 - 85, 2000-03

194
사람키우기(II)-러더포드와 그 제자들

김동원, 화학세계, v.40, no.4, pp.73 - 77, 2000-04

195
사람키우기(IV)-미국화학계의 아버지:길버트 뉴턴 루이스

김동원, 화학세계, v.40, no.6, pp.68 - 71, 2000-06

196
사람키우기(V)-일본물리학사에 새로운 장을 연 니시나 요시오

김동원, 화학세계, v.40, no.7, pp.64 - 68, 2000-07

197
사회구성주의의 도전

김동원, 철학연구, v.30, pp.73 - 84, 1992

198
사회구성주의의 도전

김동원, 철학연구, v.30, pp.73 - 84, 1992

199
소외된 90%, 따뜻한 기술, 최고의 솔루션: 한국 적정기술 운동의 문제의식 비판

전치형, 과학기술학연구, v.14, no.2, pp.127 - 164, 2014-12

200
수문장의 딜레마: 도버트 기준 도입 이후 과학과 법의 관계 변화

김성은; 박범순, 과학기술학연구, v.15, no.1, pp.215 - 244, 2015-06

201
습관성선호를 가진 거시자산가격결정모형의 재고찰: 비가분성선호와 임금경직성의 역할

김형석, 응용경제, v.12, no.3, pp.33 - 56, 2010-12

202
역사 속의 인스티튜션 빌더

박범순, 한국과학사학회지, v.35, no.1, pp.105 - 129, 2013

203
원조정보 국제표준의 형성과 유엔지속가능발전목표 이행을 위한 표준의 역할

박경열, 국제개발협력연구, v.10, no.3, pp.199 - 227, 2018-09

204
인공적인, 너무나 자연적인: 포스트 게놈 시대 합성생물학과 트랜스휴머니즘

우태민; 박범순, 과학기술학연구, v.16, no.2, pp.33 - 63, 2016-12

205
인류세 연구와 한국 환경사회학 : 새로운 질문들

최명애; 박범순, ECO, v.23, no.2, pp.7 - 41, 2019-12

206
인류세적 관점에서 본 일본 메타볼리즘 건축 운동과 그 유산

조현정; 박범순, 한국과학사학회지, v.43, no.3, pp.531 - 556, 2021-12

207
인체유래물 거버넌스: 바이오뱅크 제도화 과정에서 나타난 제공자의 권리포기 문제

신미이; 박범순, 생명윤리정책연구, v.9, no.3, pp.45 - 78, 2016-06

208
일본 물리학자 그룹의 등장 : 양차 세계대전 사이의 일본 물리학계

김동원, 과학사상, v.11, pp.126 - 145, 1994

209
자율보행체(自律步行體): 인간과 로봇이 함께 생성하고 분배하는 자율성에 대하여

강미량; 신희선; 전치형, 과학기술학연구, v.21, no.3, pp.98 - 138, 2021-11

210
전공 글쓰기 교육과정 연구를 위한 쟁점 검토 -경제학 분야를 중심으로-

주세형; 김형석, 언어학 연구, no.31, pp.251 - 283, 2014-04

211
초대받은 임상시험: 한국 임상시험 산업화과정에서 생명자본(biocapital)과윤리 가변성(ethical variability)

송화선; 박범순, 과학기술학연구, v.18, no.3, pp.1 - 44, 2018-11

212
캐븐디쉬연구소는 호주와 캐나다 출신 연구원들에게어떤 영향을 미쳤나?

김동원, 한국과학사학회지, v.24, no.2, pp.102 - 120, 2002-02

213
팬데믹 위기 시대 애자일 정책거버넌스 사례 연구 - 공적 마스크 앱 개발 민관협력 사례를 중심으로

백단비; 임문정; 김소영, 한국정책학회보, v.32, no.1, pp.1 - 28, 2023-03

214
팬데믹과 인류세 자연: 사회적 거리두기와 ‘인간 너머’의 생명정치

김준수; 최명애; 박범순, 공간과 사회, v.30, no.4, pp.51 - 84, 2020-12

215
평창올림픽과 움직임의 위기: 로봇, 5G 네트워크, 가상현실 기술은 인간 움직임의 가치를 위협하는가

김성은; 신희선; 전치형,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26, no.4, pp.67 - 85, 2018-12

216
포스트휴먼은 어떻게 오는가: 알파고와 사이배슬론 이벤트 분석

전치형, 일본비평, v.9, no.2, pp.18 - 43, 2017-08

217
환경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사회적 구성: 석면 위험에 대한 언론보도 분석을 중심으로

박광수; 박범순, ECO, v.19, no.1, pp.7 - 47, 2015-06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