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ID-Theses_Ph.D.(박사논문) " by Type Thesis(Ph.D)

Showing results 1 to 60 of 62

1
A comparative study of strategic design decision making in global automobile companies with dual brand structure = 글로벌 자동차 기업의 전략적 디자인 의사결정 비교 연구: 듀얼 브랜드 구조를 가진 기업을 중심으로link

Lee, Dong-Oh; 이동오; Chung, Kyung-Won; 정경원;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3

2
(A) New typology and strategic model of design promotion = 디자인 진흥 분류 체계 및 전략적 운영 모델에 관한 연구link

Park, Jong-Min; 박종민;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2

3
(A) prototyping tool in designing light of product = 제품의 빛을 디자인하기 위한 도구 개발 및 활용link

Jeong, Kyeong Ah; Suk, Hyeon-Jeong;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20

4
(A) study on the strategic role of design in internet business : with analyses focusing on design management research trends and korean companies = 인터넷 비즈니스에서 디자인의 전략적 역할에 관한 연구 : 디자인 경영 연구 동향과 국내 기업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link

Kim, Yu-jin; 김유진;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8

5
(A) typology of chief executives' roles in design management = 디자인 경영에서 최고경영자의 역할 유형에 관한 연구link

Song, Min-Jeong; 송민정;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0

6
Activity-driven PSS design integrating expectation and experience factors of customer activity = 고객 행동의 기대와 경험 요인을 통합한 Activity-driven PSS(product-service system) 디자인에 관한 연구link

Kim, Eok; 김억; Nam, Ki-Young; 남기영;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7

7
(An) AR-aided creativity support tool for hands-on multidisciplinary learning = 융합 실습을 위한 증강현실 응용 창작 도구link

Jeong, Yunwoo; Nam, Tek-Ji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23

8
Co-design approaches to inclusive policy agenda setting through autogenous civic engagement with a focus on the unengaged: Shy attenders, lone whiners and I-Don't-Carers = 자기발생적 시민참여를 통한 정책의제의 포용성 증진을 위한 공동디자인 소외된 타겟 그룹을 중심으로link

Kim, Chorong; Nam, Ki-Young;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20

9
Co-performing experience design for personalization in intelligent IT services = 지능형 IT 서비스의 개인화를 위한 상호 호혜적 협력 경험 디자인link

Kim, Dajung; Lim, Youn-kyung;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10
Coevolution model and its motivation of design mass collaboration = 디자인 대규모 협업의 공진화 모델과 동기요인link

Kim, Daeeop; Lee, Kun-Pyo;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8

11
Collaborative product design processes between industrial designers and engineering designers - A case study of six consumer product companies = 산업디자이너와 공학설계자 간의 협력적 제품디자인 과정 - 소비제품을 생산하는 여섯 회사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link

Kwan-Myung Kim; 김관명;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4

12
Contextual approach for defining of an emotion model for design of facial expressions of humanoids = 로봇 표정 디자인을 위한 감정모델 개발의 맥락적 접근법 연구link

Jeong, Seong-Won; 정성원;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9

13
Cultivation of somatic awareness in movement-based interactive product design practice: the use of somaesthetic reflection = 움직임 기반 인터랙티브 제품 디자인 활동에서의 몸의 의식 양성에 관한 연구: 체미학적 성찰의 활용link

Lee, Wonjun; 이원준;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5

14
Design for social reinforcement in health IT services = 사회적 강화를 이용한 건강 IT 서비스 디자인 연구link

Lee, Yeoreum; Lim, Youn-kyung;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8

15
Design from body to product movement for affective user experience = 정서적 제품 경험을 위한 인체 기반 움직임 디자인link

Jung, Jin-Yung; 정진영;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3

16
Design method for sustainable interaction: understanding and applying design attributes of product Intervention for immediate behavior change = 지속가능 인터랙션을 위한 디자인 방법:즉각적인 행동 변화를 위한 디자인 속성의 이해와 적용을 중심으로link

Sohn Minjung; 손민정;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5

17
Design with a pet dog analogy for intimate interaction of smart products = 스마트 제품의 친밀한 인터랙션을 위한 반려견 비유 디자인link

Row, Yea-Kyung; Nam, Tek-Ji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20

18
Designing dynamic passive kinesthetic feedback for immersive experience in virtual reality = 가상 현실에서의 몰입감 있는 경험을 위한 동적 수동 운동학적 피드백 디자인link

Je, Seungwoo; Andrea, Bianchi;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22

19
Designing for slow communication: pause moment design for slow communication in social media = 느린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디자인: 쉬어가기 디자인을 통한 느린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link

Bae, Jae eul; 배재을; Kim, Myung Suk; 김명석;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5

20
Designing humorous products -Principles and case studies = 유머 제품 디자인 - 원리와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link

Yu, Yeonsu; 유연수;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5

21
Designing multi-mobile tangram display for collocated game interaction = 대면 게임 상호작용을 위한 다중 모바일 탱그램 디스플레이 디자인link

Kim, Seungki; Lee, Woohu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22
Designing near-surface AR interaction for enhancing museum visitor experience = 박물관 관람 경험 증진을 위한 전시물 표면 공간 인식 기반의 정보 증강 기술 디자인link

Yi, Hyeonbeom; Lee, Woohu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23

23
Designing routine-driven do-it-yourself smart home = 루틴 중심 Do-it-yourself 스마트 홈 디자인link

Woo, Jong-bum; Lim, Youn-kyung;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7

24
Designing through the memory of experiences = 회상적 경험을 통한 디자인link

Park, Jung-Mi; 박정미;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3

25
Designing touchpoints for business to consumer services -particular emphasis on designable touchpoints = 비즈니스-소비자 서비스를 위한 터치포인트의 디자인에 관한 연구-디자인이 가능한 터치포인트를 중심으로-link

Lee, Kyongsill; 이경실; Chung, Kyung-Won; 정경원;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4

26
Developing a small-size wearable tactile device to simulate friction, compliance, and texture = 마찰력, 컴플라이언스, 텍스처를 모사하는 소형 웨어러블 택타일 디바이스 개발link

Kim, Hwan; Lee, Woohu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27
Digital patination = 디지털 파티네이션: 제품 애착 형성을 위한 디지털화된 파티나의 이해와 적용link

Lee, Moon-Hwan; 이문환;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6

28
Dynamic lighting for a better learning environment = 학습 환경을 위한 동적 조명 연구link

Choi, Kyungah; 최경아;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7

29
Embodied design toolkits for consumers and creators = 소비자와 크리에이터를 위한 신체 기반 디자인 툴킷 연구link

Lee, Bokyung; Saakes, Daniel;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20

30
Establishment of metamodel for security design based on difference of communication pattern = 커뮤니케이션적 패턴의 차별성에 기반한 보안 디자인 메타모델 수립link

Eom, Jeong-Sik; 엄정식;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4

31
Everyday design as a design resource = 디자인 리소스로서의 일상 사물 전용 행위에 관한 연구link

Kim, Hyang-Ah; 김향아;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4

32
Experience design for robotic products : understanding child-robot interaction through the perspective of social relationships = 로봇 제품의 경험 디자인 : 사회적 관계에 기초한 아동과 로봇의 인터랙션 연구link

Oh, Kwang-Myung; 오광명;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0

33
Experience prototyping for designing smart environments = 스마트 환경 디자인을 위한 경험 프로토타이핑link

Kim, Han-Jong; Nam, Tek-Ji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34
Exploratory studies on actuated pixels as building blocks for interactive kinetic surfaces = 동적이며 상호작용 가능한 표면의 구성요소인 구동 픽셀에 관한 탐색적 연구link

Kim, Hyun-Jung; 김현정;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3

35
Extending on-tablet 3D sketching with in-space 3D interactions for design practice = 공중 3D 인터랙션을 통해 확장한 디자인 실무용 태블릿상 3D 스케칭link

Kim, Yongkwan; Bae, Seok-Hyung;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8

36
Family-shared AI assistant design for reinforcing the family bond = 가족 유대를 돕는 가족 공유 인공지능 어시스턴트 디자인link

Park, Sunjeong; Lim, Youn-kyung;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20

37
Feature diet method: an evaluation method based on the kano model for mobile application design = 카노 모델 기반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능 평가 방법 개발 및 사례 연구link

Lee, Boram; 이보람;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5

38
Gesture-based interaction prototyping for designers = 디자이너를 위한 제스처 기반 인터랙션 프로토타이핑link

Kim, Ju-Whan; 김주환;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7

39
Human-robot social distance in interaction design for robot acceptance = 인간-로봇간 사회적 거리에 따른 인터랙션 디자인의 영향link

Kim, Yun-Kyung; 김윤경;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3

40
Image-color harmony : key color generation and image recoloring = 이미지-색채 조화를 위한 색채 선정과 이미지 보정link

Kim, Eunjin; Suk, Hyeon-Jeong;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8

41
Impact of organizational conditions on corporate design agility = 기업 디자인 민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환경적 요인 : 민첩 역량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중심으로link

Kwon, Yeunyoung; 권은영; Nam, Ki Young; 남기영;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7

42
Integrated model of competence development for middle-level design managers = 중견 디자인 매니저의 역량 개발을 위한 통합적 모델: 직무 별 우선순위, 가능요인과 촉진요인, 역할 유형을 중심으로link

Kang, Hyo-Jin; 강효진; Chung, Kyung-won; 정경원;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6

43
Interaction design for In-Situ assistance in physical computing prototyping = 피지컬 컴퓨팅 프로토타이핑 상황 기반 지원을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link

Kim, Yoonji; Andrea, Bianchi;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20

44
Interaction-driven design for product concept development = 인터랙션 기반 제품 컨셉 디자인link

Maeng, Seung-Woo; 맹승우; Lee, Kun-Pyo; 이건표;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3

45
International product design awards: the nature and strategic use = 국제 제품 디자인상 제도의 특성과 전략적 활용에 관한 연구link

Sung, Whan-Oh; 성환오;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1

46
Investigation into cultural design framework through national-cultural interpretation in mobile phone design = 모바일폰 디자인의 국가.문화적 해석을 통한 문화디자인프레임워크 구축link

Eune, Ju-Hyun; 윤주현;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3

47
Methods and practices of affective ambient light design in cars = 자동차 실내 감성조명 디자인 방법과 실제link

Kim, Taesoo; Suk, Hyeon-Jeong;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23

48
Non-finito products : design for creative user experience with everyday digital products = 논피니토 제품 : 일상 디지털 제품의 창의적 사용경험을 위한 디자인link

Seok, Jin-Min; Lim, Youn-kyung;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7

49
Optimal luminance and chromaticity for viewing mobile displays under low illuminance = 저조도 환경에 적합한 디스플레이 휘도 및 색도link

Na, Noo Ree; 나누리;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6

50
Proxemics-based mobile messenger design = 프로세믹스 기반 모바일 메신저 디자인link

Shin, In-geon; Lim, Youn-kyung;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51
Roles of media affordance for design collaboration = 디자인 협업에서 미디어 어포던스의 역할link

Jung, Young-Wook; Lim, Youn-kyung; 임윤경; Kim, Myung-suk;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8

52
Smartphone effect = 스마트폰의 영향 : 휴대용 정보기기의 Post-optimal use의 사용자 경험link

Lee, Yong-Ki; 이용기;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7

53
Tactile phone conversation = 촉감통화link

Park, Young-Woo; 박영우;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4

54
The dynamics of design activity by determinization level = 확정화 수준에 따른 디자인 행위의 동적 변화link

Kwak, Sonya-Sona; 곽소나;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8

55
The effects of anthropomorphism on product design = 의인화가 제품디자인에 미치는 영향link

Choi, Jeong-Gun; 최정건;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1

56
(The) effects of contexts on information design = 정보디자인에서 맥락의 영향link

You, Sicheon; 류시천; Lim, Youn-kyung; 임윤경;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5

57
(The) effects of the usability of products on user’s emotions = 제품의 사용성이 사용자의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link

Jeong, Sang-Hoon; 정상훈;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7

58
(The) exploration of design thinking process using sketch analysis = 컨셉스케치분석을 통한 디자인사고과정의 탐구link

Kim, Ji-Hoon; 김지훈;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9

59
(The) prototyping framework for the robot platform styling and mechanical design = 로봇 플랫폼 스타일링과 기구적 디자인을 위한 프로토타이핑 프레임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link

Kim, Won-Sup; 김원섭;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8

60
Thermoformable digital fabrication = 열 성형이 가능한 디지털 패브리케이션link

Ko, Donghyeon; Lee, Woohu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22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