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망의 고현학(考現學)-‘문화사 연구’의 사회․문화적 조건과 이데올로기The Modernology of the Desire-Sociocultural Conditions and Ideologies of Studies on Modern Korean Cultural History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859
  • Download : 0
이 글에서는 ‘문화사 연구’가 등장하게 된 사회․문화적 조건과 ‘문화사 연구’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해명을 통해 ‘문학사’와 ‘풍속사’, ‘문화사’의 관계를 정립해 보았다. 근대 ‘풍속’과 ‘문화 현상’에 관한 ‘문화사 연구’가 시작한 지 10여 년이 지나면서 한국 근대문학 연구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는 영역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문화사 연구’가 한국 근대문학을 전공한 연구자에 의해 주도되었다는 사실을 제외하면, 그것이 한국 근대문학 연구에 포함되어야 할 이유를 찾기는 쉽지 않다. ‘문화사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을 비롯한 외국 이론의 퇴조, 형이상학적, 관념적 지식에서 실증적 지식으 로의 지식 자체의 위상 변화, 미시사적 방법론 수용, 방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 4가지 사회․문화적 조건이 어우러져 각광받기 시작했다. ‘문화사 연구’는 인간의 행동은 본질적 으로 이념이나 지식이 아니라 욕망이라 전제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문화사 연구’는 욕망 의 고현학이라 할 수 있고, 인간의 행동을 궁극적으로 지배하는 것은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욕망이라는 또 다른 이데올로기를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문화사 연구’는 현재의 ‘문학사’ 에서 결여되어 있는 욕망의 문제를 포함한 새로운 ‘문학사’를 기술하는 데 어느 정도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blisher
민족문학사학회
Issue Date
2010-08
Language
Korean
Citation

민족문학사연구, no.43, pp.90 - 114

ISSN
1227-0962
URI
http://hdl.handle.net/10203/97606
Appears in Collection
HSS-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