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Graduate School of Medical Science & Engineering(의과학대학원)" by Type Thesis(Ph.D)

Showing results 189 to 208 of 226

189
T cell-mediated immunopathologic mechanism of liver injury in acute viral hepatitis =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에서 간손상을 일으키는 T 세포-매개 면역병리 기전link

Chang, Dong-Yeop; 장동엽;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2

190
TCR-independent unique signature of bystander-activated memory CD8+ T cells during influenza infection = 인플루엔자 감염에서 TCR에 의한 활성과는 독립적인 방관자 활성화 기억 CD8+ T 세포의 고유한 특성 규명 연구link

Jeong, Seongju; Shin, Eui-Cheol;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22

191
The expression and role of transcription factor Sox17 in angiogenesis = 혈관신생 과정에서 전사인자 Sox17의 발현과 기능 연구link

Lee, Sung-Su; 이성수;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3

192
The mammalian hippo (Mst1 and Mst2) kinase plays a role in the lung development = Mst1/2 Kinase의 폐 발생 및 분화에서의 기능 연구link

Chung, Chae-Uk; 정재욱;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3

193
The role of senescent T cells and cytomegalovirus-specific T cells in vascular injury = 혈관 손상에 있어 면역노화 T세포 및 거대세포바이러스-특이 T세포의 역할link

Yu, HeeTae; 유희태; Shin, Eui Cheol; 신의철;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5

194
The role of the interaction between Notch signaling and transcription factor Sox17 in angiogenesis and vascular remodeling = Notch 신호전달 경로와 전사인자 Sox17 상호작용이 혈관신생 및 재형성과정에 미치는 역할 연구link

Lee, Seung Hun; 이승헌;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5

195
The urologic application of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hPSCs): Differentiation of hPSCs into nephron progenitor cells and bladder urothelium =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의 비뇨기과적 활용: 네프론 전구세포 및 방광 요로상피세포로의 효율적 분화 방법에 관한 연구link

Kang, Min-Yong; 강민용;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4

196
(The) association of the perceived intensity of verbal abuse experiences with anatomical and neurochemical properties of human brain = 언어적 학대 경험 정도가 뇌의 구조 및 신경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link

Kim, Dohyun; Jeong, Bumseok;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197
(The) effect of serotonin signals through serotonin receptor 2B in visceral adipose tissue on systemic insulin resistance = 내장 지방에서 세로토닌 수용체 2B 신호 전달이 전신적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link

Choi, Won Gun; Kim, Hail;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21

198
(The) effects of emotional feedback on probabilistic associative learning = 정서적 되먹임이 확률 기반 연관 학습에 미치는 영향link

Yoon, Taekeun; 윤태근;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7

199
(The) effects of emotional trauma on the development of frontolimbic networks = 정서적 외상경험이 전두엽-변연계 네트워크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link

이상원; Lee, Sang-Wo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6

200
(The) mechanism of HSP90 inhibitor in enhancing the anti-cancer effects of BCL-2 inhibitor in small cell lung cancer = 소세포폐암에서 BCL-2억제제 항암효과를 향상시키는 HSP90억제제 기전 연구link

Yang, Hanna; Koh, Gou Young; 고규영; Lee, Dae Ho;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8

201
(The) mechanisms and dynamics of marginal glioblastoma invasion = 교모세포종 주변부 침습의 기전과 역학link

Chon, Haemin, 한국과학기술원, 2022

202
(The) mGluR5-mediated endocannabinoid production of hepatic stellate cells causes alcoholic fatty liver = 알콜성 지방간 발생에서 간성상세포 내 글루타메이트 수용체-엔도카나비노이드의 역할 규명link

Choi, Won-Mook; Jeong, Won-Il;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203
(The) non-axonal posterior circulation of the intravitreal ovalbumin through the ONH and ISVP = 시신경과 공막경유얼기를 통한 유리체내 난알부민의 후방순환의 연구link

Jeon, Jehwi; Kim, Pilha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23

204
(The) role and mechanism of ESCRT proteins as regulators of primary cilia = 일차섬모 조절자로서의 ESCRT 단백질의 역할과 기전에 관한 연구link

Jung, Eun Ji; Kim, Joo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205
(The) role of activated hepatic stellate cells and 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s during the hepatic tumorigenesis = 간암 발생과정에서 활성화된 간성상 세포와 미성숙 골수억제 세포 역할에 관한 연구link

Jeong, Jong-Min; Jeong, Won-Il;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8

206
(The) role of adipose-derived serotonin in regulating of energy metabolism and adipocyte remodeling = 지방 세포에서 합성된 세로토닌이 에너지 대사와 지방세포 리모델링을 조절하는 역할을 규명link

Shong, Ko Eun; Kim, Hail;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20

207
(The) role of BAF chromatin remodeling complex in long-term fear memmory formation = 공포 장기기억 형성에서 BAF 크로마틴 리모델링 복합체의 기능 연구link

Choi, Kwang-Yeon; 최광연;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5

208
(The) role of emotional stimuli in learning and decision making = 학습 및 의사결정에 정서 자극의 역할link

Shin, Dong Woo; Jeong, Bumseok;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Discover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