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사물을 매개로 하는 장소기반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대한 연구 : 장소공유/비동시적 상황에서 음성녹음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A study of location based communication style mediated by everyday thing : with emphasis on the communication using voice recording for co-located asynchronous situ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768
  • Download : 0
본 연구의 범위는 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이용에 있어 비동시적인 상황을 전제로 일대일과 일대다수 관계에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제안하는 것이었다. 이는 일상 사물을 매개로 하는 것에 의의를 두었다. 장소 기반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연상작용을 불러일으키는 특성을 이용할 수 있었다. 이에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의 접근과 이용이 자연스럽게 일어났다. 오늘날 컴퓨터 기반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갖는 정보전달 방식의 단점을 보완한 것이다. 또한 음성 녹음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으로 시각적 정보의 전달에 비해 인위적 접근을 감소시키는 반면, 전달의 은근성을 통한 자연스러운 접근이 가능하였다. 일상사물을 매개로 새로운 기능을 침투시키는 퍼베이시브 컴퓨팅을 바탕으로 그 활용 가능성과 디자인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대한 사용자 수용성을 평가해 보는 것이었다. 연구에서 의도한 사물이 갖는 본래의 행동유도성을 이용해 새로운 기능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자 함에 있어서, 가시적 메타포의 부재에 따른 사용자의 혼란을 관찰할 수 있었다. 즉, 부가적인 요소가 없는 기능만의 침투로는 새로운 매체로의 접근은 용이하나, 사용에 있어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제시된 연구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의 증가를 목적으로 일상사물을 활용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응용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Advisors
이우훈researcherLee, Woo-Hun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디자인학과,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05
Identifier
249581/325007  / 020033918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디자인학과, 2005.8, [ [v], 75 p. ]

Keywords

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 사물을 매개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일상사물;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Online Communication; Offline Communication; Object-Mediated Communication; Everyday Things

URI
http://hdl.handle.net/10203/40285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249581&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ID-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