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콘텐츠에 의해 유발된 각성수준과 동기활성화체계의 개인차가 제품배치에의 응시시간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arousal caused by video content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appetitive system activation on fixation duration and memory for product placement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966
  • Download : 0
제품배치(PPL)은 간접광고의 한 기법으로 수많은 TV프로그램과 영화에서 활용되었다. 이러한 PPL은 기업들이 자신들의 제품 및 브랜드를 홍보하는 동시에 콘텐츠 제작자는 수익을 얻는 수단이 된다. 최근의 디지털 비디어 레코더(DVR) 및 다양한 개인 미디어 장치의 급격한 증가는 전통적인 광고형식의 효율성에 부정적 영향을 가져오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PPL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광고주는 어떤 방식으로 콘텐츠를 활용하여 제품배치를 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을지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한 것이다. 다만, 이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얼마 되지 않으며, 기존 연구들은 주로 재인 기억에만 의존하여 그 효과성을 논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C4MP를 토대로 동영상 콘텐츠에 의해 유발된 각성수준과 동기활성화체계의 개인차가 제품배치에의 응시시간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주로 사용하는 재인기억에 대한 자료뿐만 아니라 시선추적기를 사용, 응시시간을 계량화한 자료를 함께 분석, PPL 광고의 결과뿐만 아니라 그 정보가 처리되는 과정까지 함께 분석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은 동영상 콘텐츠에 의해 유발된 각성수준(2) X 반복(4) X 동기활성화 시스템의 개인차(2)로 이루어졌으며, 피실험자의 자유회상, 단서회상, 재인 및 안구 응시시간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동영상 콘텐츠에 의해 유발된 각성수준 따른 PPL 광고 효과를 확인하는 데에는 성공하였으나, 개인의 동기활성화체계에 따른 정보처리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Advisors
시정곤researcherShi, Chung-Kon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1
Identifier
467626/325007  / 0200933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2011.2, [ vi, 68 p. ]

Keywords

응시시간; 브랜드배치; 제품배치; 시선추적; Eye Tracker; LC4MP; PPL; Product Placement

URI
http://hdl.handle.net/10203/35015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467626&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GCT-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