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쳐 매핑 대상 윤곽선 상의 대응점 자동 생성 알고리즘Automatic generation of feature point on texture mapping contour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957
  • Download : 0
텍스쳐 매핑은 3D 콘텐츠 제작 과정에 있어 중요한 단계에 해당한다. 보통 텍스쳐 매핑은 메쉬 오브젝트의 시각적인 디테일을 더하기 위해 2D 이미지를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과정은 보통 텍스쳐 정점들의 위치를 수정해서 2D 이미지와 3D 메쉬간의 시각적인 대응점들을 모두 맞추어 주는 작업을 의미한다. 최근 연구에서는 2D 이미지의 변형이 최소화 되면서도 예전보다 적은 수작업을 통해서 매핑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대응점을 사용해서 파라메터라이제이션 과정에 제한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쳐매핑 대상 메쉬와 이미지의 뼈대구조를 서로 매칭해서 이러한 대응점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이다. 2D와 3D 윤곽선에 대한 초기 뼈대는 Chordal Axis Transform을 적용해서 추출하게 된다. 각 2D와 3D윤곽선의 shape tree는 이러한 초기 뼈대로부터 형태상학적으로 의미 없는 에지들을 제거하고 병합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shape tree간의 매칭은 Depth First Search 알고리즘과 유사한 방법으로 다양한 윤곽선들에 대해 그것의 형태적 특이성을 설명하는 부가적인 구문구조 없이 자동으로 대응점들을 생성할 수 있고 윤곽선들이 서로 형태상학적으로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더라도 대응점을 찾아낼 수 있다.
Advisors
코디어, 프레데릭Cordier, Frederic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07
Identifier
268801/325007  / 020053973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2007. 8, [ iii, 54 p. ]

Keywords

텍스쳐 매핑; 대응점; 형태 트리; 윤곽선 매칭; texture mapping; feature point; shape tree; contour matching; 텍스쳐 매핑; 대응점; 형태 트리; 윤곽선 매칭; texture mapping; feature point; shape tree; contour matching

URI
http://hdl.handle.net/10203/35010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268801&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GCT-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