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의 과학화와 새로운 환경정책: 국립환경연구소의 설립과 환경정책의 과학적 제도화Scientization of the Environment and New Environmental Policy: A Creation of the National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and the Scientific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Policy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47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준ko
dc.date.accessioned2024-03-18T08:00:19Z-
dc.date.available2024-03-18T08:00:19Z-
dc.date.created2024-03-18-
dc.date.created2024-03-18-
dc.date.issued2023-06-
dc.identifier.citationECO, v.27, no.1, pp.135 - 173-
dc.identifier.issn1598-3072-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318558-
dc.description.abstract환경과학과 환경정책의 관계는 무엇이며, 한국 사회에서 이는 어떤 양상으로 나타났는가? 한국의 환경정책과 규제기관의 역사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에서 규제과학기관으로 설립된 국립환경연구소에 대해 주목한 연구는 찾기 어려웠다. 본 연구는 국립환경연구소의 설립을 중심으로 환경보전법 설립 전후의 한국의 환경정책을 점검하며, 과학적 연구기관이 환경정책의 수립과 실천, 더 나아가 시민들의 환경적 행위의 구성에 영향을 주었음을 주장한다. 국립환경연구소는 환경보전법이 제정된 직후 수립되었으며, 국립보건연구소 공해과의 시설과 기능을 이관받으며 그 시작을 알렸다. 설립 직후 환경 측정 기능을 도입하기 시작한 국립환경연구소는 조직개편을 통해 환경과학 교육 및 공해관리기사 교육으로 그 기능을 확장하며 환경보전법의 구체적인시행을 보조했다. 과학의 언어로 다시 쓰여진 한국의 환경정책은 분자화되고 계량화된 방식으로 환경을 재구성했으나, 환경규제기준을 설정하는 일은 환경실태를 측정하는 임무에 비해 후순위로 밀려났다. 이 연구는 한국 환경정책의 과학화 과정을 조명함으로써, 과학기술학과 환경사회학 사이의 접점을 찾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dc.languageKorean-
dc.publisher한국환경사회학회-
dc.title환경의 과학화와 새로운 환경정책: 국립환경연구소의 설립과 환경정책의 과학적 제도화-
dc.title.alternativeScientization of the Environment and New Environmental Policy: A Creation of the National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and the Scientific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Policy-
dc.typeArticle-
dc.type.rimsART-
dc.citation.volume27-
dc.citation.issue1-
dc.citation.beginningpage135-
dc.citation.endingpage173-
dc.citation.publicationnameECO-
dc.identifier.doi10.22734/ECO.27.1.202306.004-
dc.identifier.kciidART002977913-
dc.contributor.localauthor전준-
dc.description.isOpenAccessN-
Appears in Collection
HSS-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