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지 반복 회전운동 시 관절 역학 일 기반 표면근전도신호 평균주파수 분석에 의한 근피로도 추정Estimation of muscle fatigue by analyzing sEMG mean power frequency based on joint mechanical work during upper limb repetitive rot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242
  • Download : 0
최근 웨어러블 기기의 보급이 널리 이루어지면서 가장 대중적인 스포츠 중 하나인 수영에서도 스윔워치 시장의 꾸준한 성장과 더불어 기기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의 질도 발전하고 있다. 한편, 근피로도는 스포츠에서 선수의 운동 수행 능력, 근육 부상 위험도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데이터이지만 침습적 측정 방법, 측정 장비의 높은 가격 등의 원인으로 그 유용함에 비해 일반적인 사용자가 얻기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관절 역학 일과 근피로도 간의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상지 회전 운동 시 관절 역학 일 기반 표면근전도신호 평균주파수 추정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카메라와 피험자의 신체에 부착된 광학 마커를 통해 광학 마커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얻었으며, 이를 이용해 팔 관절의 각도를 비롯한 운동학적 정보를 계산하였다. 계산된 운동학적 정보와 힘 센서로부터 측정된 손에서의 항력을 상지 강체 관절 모델에 적용시켜, 역동역학 분석을 통해 어깨와 팔꿈치 관절 역학 일을 계산하였고 역학 일과 근피로도 간의 상관관계로부터 표면근전도신호 평균주파수 추정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추정 모델의 실험적 검증을 위해, 스윔벤치에서 수영 스트로크 동작 시 상완 근육의 표면근전도신호 평균주파수의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추정결과와 비교하였다. 추정된 표면근전도신호 평균주파수는 측정된 표면근전도신호의 평균주파수에 대해 20.76±8.64%의 NRMS 오차를 나타내었으며, 데이터 수치 미분값의 경우 1차 운동과 2차 운동에서 각각 7.47±6.53%와 10.62±27.10%의 NRMS 오차를 보였다. 제안한 추정 모델은 실제 운동 환경에서의 실험을 통한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다. 추후 상용화된 센서를 이용하여 추정 모델에 적용될 운동학적 데이터를 얻는 연구가 진행된다면, 일반적인 사용자에게도 표면근전도신호 평균주파수의 추정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해당 추정 방법에서의 접근법이 타 스포츠에서의 웨어러블 기기 개발 관련 연구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dvisors
김정Kim, Jung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21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과, 2021.2,[v, 60 p. :]

Keywords

근피로도▼a표면근전도신호▼a역동역학▼a상지▼a역학 일; Muscle fatigue▼asEMG▼aInverse dynamics▼aUpper limb▼aMechanical Work

URI
http://hdl.handle.net/10203/295004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949094&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ME-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