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BS-Theses_Ph.D.(박사논문)" by Author Kim, Eunjoon

Showing results 13 to 26 of 26

13
Mechanisms underlying ASD-like phenotypes in ARID1B-haploinsufficient mice = 염색질 개조 단백질 ARID1B 결손 생쥐의 자폐유사증상 기전 연구link

Kim, Hyosang; Kim, Eunjoo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23

14
Regulation of excitatory synapses and fear memory by the synaptic adhesion molecule SALM4 = 시냅스 접착 단백질 SALM4에 의한 흥분성 시냅스 및 공포기억 조절에 관한 연구link

Lie, Eunkyung; Kim, Eunjoo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6

15
Regulation of synapse development by the SALM3 synaptic adhesion molecule = SALM3 synaptic cell adhesion molecule에 의한 시냅스 발달 조절에 관한 연구link

Li, Yan; Kim, Eunjoo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5

16
Regulation of synaptic development and function by synaptic cell adhesion molecule, Neph2 = 시냅스 세포 접착 단백질인 Neph2의 시냅스 발달과 기능 조절에 관한 연구link

Choi, Su Yeon; Kim, Eunjoo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5

17
Role of cerebellar Shank2 in the regulation of synaptic and behavioral functions = 소뇌의 Shank2 단백질이 시냅스 기능과 생쥐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link

Ha, Seungmin; Kim, Eunjoo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8

18
Role of diacylglycerol kinase $\zeta (DGK \zeta)$ in the regulation of cerebellar purkinje cell synapses = diacylglycerol kinase $\zeta (DGK \zeta)$ 에 의한 소뇌 퍼킨지 세포 시냅스 조절에 관한 연구link

Lee, Dongwon; 이동원;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6

19
Roles of the postsynaptic adhesion molecule NGL-2 in the regulation of synaptic plasticity and behavior = 시냅스 접착 단백질 NGL-2에 의한 시냅스 가소성 및 행동 조절에 관한 연구link

Um, Seung Min; Kim, Eunjoo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8

20
Studies on Valproic acid-exposed mice and a conditional IRSp53-mutant mice = Valproic Acid 노출 생쥐 및 IRSp53 유전자의 세포특이적 결손 생쥐에 대한 연구link

Kang, Jaeseung; 강재승;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7

21
Study of KATNAL2 associated with microtubule regulation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 KATNAL2의 미세소관 조절과 자폐와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link

Kang, Ryeonghwa; Kim, Eunjoo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21

22
Study on mechanisms underly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using TBR1-K228E mice = TBR1-K228E 돌연변이 생쥐를 이용한 자폐 발병 기전 연구link

Yook, Chaehyun; Kim, Eunjoo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20

23
Synaptic and behavioral dysfunctions in mice carrying the autism-risk Shank3 Q321R mutationlink

Yoo, Ye-Eun; Kim, Eunjoon; et al, 2021

24
The role of PTEN C-terminus in the regulation of brain glycine homeostasis and NMDA receptor function through SLC6A20Alink

Roh, Junyeop Daniel; Kim, Eunjoon; et al, 2021

25
Trans-interaction of SALM5 and in vivo function of NGL-1 = SALM5의 트랜스 상호작용과 NGL-1의 생체내 기능에 대한 연구link

Choi, Yeonsoo; Kim, Eunjoo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26
Trans-synaptic interaction of PTPRD is critical for synaptic development and sexually dimorphic behavior, neuronal activity, and gene expression in Chd8-mutant mice = 시냅스 발달에서 PTPRD 트랜스 상호작용의 역할과 CHD8 유전자 돌연변이 쥐에서의 성적이형행동, 신경세포활동, 그리고 유전자 발현link

Park, Haram; Kim, Eunjoo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