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누스Janus : Designing transparent display with independent content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981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우훈-
dc.contributor.advisorLee, Woohun-
dc.contributor.author이현재-
dc.contributor.authorLee, Hyunjae-
dc.date.accessioned2017-03-29T02:33:16Z-
dc.date.available2017-03-29T02:33:1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63362&flag=dissertationen_US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221446-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디자인학과, 2016.8 ,[vi, 72 p. :]-
dc.description.abstract투명 디스플레이는 많은 미래의 시나리오에서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각광받고 있으며, 학술 연구도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공간 인지도 및 정보 독립성의 개념을 통해 사용자 간의 원활한 대면 협업을 위한 연구를 진행한다. 정보 독립성이란 사용자가 같은 정보를 보고 있는 지, 개인 정보를 따로 관리하는 지를 설명한다. 작업 공간 인지도는 사용자의 한 쪽에서 감지하는 작업에 영항을 주는 다른 쪽의 사용자 행동을 일컫는다. 양면 투명 디스플레이 프로토타입을 활용해 이러한 요소들이 사용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 분석한다. 투명 양면 디스플레이에서 사람들의 상호작용 방식을 도출하기 위해 먼저 투명 디스플레이의 사용 사례를 분석한다. 이후 선행 연구들을 통해 디스플레이를 상호작용에서 작업 공간 인지도(Workspace Awareness)와 {정보 독립성}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양면 협업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고 사용자 평가를 통해 피드백을 받는다. 피드백을 통해 새로운 상호작용 방식을 제안하고 응용 시나리오를 제안한다. 최종 완성된 프로토타입을 이용하여 사용자 평가를 진행하며, 결과를 분석하고 유용성 및 가치에 대해 평가한다.-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투명 디스플레이-
dc.subject대면 협업 상호작용-
dc.subject투명도-
dc.subject정보 독립성-
dc.subject상호작용 디자인-
dc.subjecttransparent display-
dc.subjectface-to-face collaborative interaction-
dc.subjecttransparency-
dc.subjectprivacy control-
dc.subjectinteraction design-
dc.title야누스-
dc.title.alternativeJanus : Designing transparent display with independent contents-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325007-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산업디자인학과,-
Appears in Collection
ID-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