템포큐브Tempocube : development of adaptable physical kinetic module for music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832
  • Download : 0
현대에 들어 음악은 청각뿐만 아니라 시각, 촉각 등의 다양한 감각요소 및 문화적 요소를 포함하는 복합문화예술 활동으로 확장되고 있다. 디자인 및 HCI 분야에서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데에 가상적(Virtual)인 것이 아닌 물리적(Physical)인 방식을 이용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가상적인 방식의 음악 시각화가 대중에게 빠르게 보급된 것에 반해, 음악을 물리적 운동으로 표현하는 제품은 낮은 접근성과 한정된 표현 매체로 인해 대중에게 그리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 한편, 최근에는 피지컬 컴퓨팅 및 유비쿼터스 컴퓨팅 개념이 보편화 되면서 움직이지 않는 일상 제품에 모듈(Module)을 부착하여 운동성을 부여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듈의 형태로 음악을 물리적 운동으로 표현하는 제품인 템포큐브(TempoCube)를 제안 및 개발하고, 이를 다양한 매체에 사용자가 스스로 확장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이러한 제품의 사용이 사용자의 음악 감상 활동 및 음악 표현 활동에 있어서 제공하는 새로운 경험과 가치가 무엇인지 사용자 워크샵을 통해 정성적으로 탐색하였다. 그 결과, 템포큐브가 사용자로 하여금 경험적, 심미적, 감성적 만족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음악 감상에 있어 자기 표현의 매개체가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템포큐브를 통해 사용자가 음악과 인터랙션 함으로써 확장된 음악 경험을 가능케 하고, 프로토타이핑 도구로서 활용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성과와 기여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의 물리적 운동 표현 제품 및 일상 제품에 물리적 운동성을 부여하는 모듈 제품을 탐색하여, 확장적용 가능한 음악의 물리적 운동 모듈이라는 새로운 제품 컨셉을 제안하였다. 둘째, 제안된 컨셉을 바탕으로 프로토타입인 템포큐브를 개발하였으며 사용 경험 평가를 위한 워크샵을 수행하였다. 셋째, 이를 통해 확장적용 가능한 음악의 물리적 운동 모듈이 사용자로 하여금 긍정적인 음악 경험을 제공하며, 이러한 제품이 새로운 음악 경험의 매개체 및 프로토타이핑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
Advisors
배상민researcherBae, Sangmin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산업디자인학과,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6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디자인학과, 2016.2 ,[vi, 62 p. :]

Keywords

음악표현; 피지컬 컴퓨팅; 운동모듈; 키네틱 인터랙션; DIY; Music expression; Physical computing; Kinetic module; Kinetic interaction

URI
http://hdl.handle.net/10203/221438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49422&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ID-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