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홈 화면에서의 공간적 행동 양상 탐구Revisited Edward T. Hall : Investigating spatial behavior in smartphone home screen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801
  • Download : 0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자신의 홈 화면을 각기 다른 모습으로 개인화한다. 이러한 홈 화면의 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본 연구는 사용자들의 홈 화면에 대한 ‘공간적 관념’의 차이를 제안한다. 일종의 매개 공 간인 스마트폰의 홈 화면에서의 공간적 행위를 탐구하기 위하여, 실공간에서의 공간적 행위를 관찰하였던 에드워드 홀의 프락시믹스 연구를 활용하였다. 인류학자 홀은 여러 가지 방법론을 통하여 사람들을 관찰 및 분석한 결과 사람들은 무의식중에 각자 공간적 관념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그러한 관념이 특정 공간을 사용 시의 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홀이 프락스믹스 연구에 사용하였던 방법론들을 스마트폰 홈 화면의 특성에 따라 고찰하여 본 논문만의 연구 프레임워크를 구상하였다. 홀이 밝힌 인간의 공간 사용법 중 HCI 분야에서도 숱하게 활용되는 대표적인 세 가지는 조직화 모델, 개인적 공간, 그리고 공간의 사회성이었 는데, 따라서 본 연구는 홀의 세 가지 이론이 홈 화면이라는 공간 내에서 어떻게 발현되고 있는지를 중점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와는 별개로 추가로 관찰되는 공간적 행동의 발견에 대한 가능성 또한 열어놓았다. 그 결과 본 연구는 홈 화면에서의 프락시믹스 성립 가능성을 비롯하여 사용자들의 홈 화면에 대한 공간적 행위들을 개괄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들은 홈 화면에서의 공간적 행동과 프락시믹스적 행동의 기초 연구로써 활용될 수 있겠다.
Advisors
이지현researcherLee, Ji-hyunresearcher시정곤researcherShi, Chung-Kon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문화기술대학원,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6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2016.8 ,[v, 54 p. :]

Keywords

공간적 행동; 프락시믹스; 스마트폰; 사용자 인터페이스; 에드워드 홀; Spatial behavior; Proxemics; Smartphone; User Interface; Edward Hall

URI
http://hdl.handle.net/10203/221367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63331&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GCT-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