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브랜드 속성에 따른 색채 터치포인트의 활용 유형Types of utilizing color touchpoints by corporate brand attribute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784
  • Download : 0
마케팅 분야에서는 일찍이 브랜드 이미지 및 인지도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브랜드 지식은 소비자가 브랜드에 대해 갖고 있는 의미를 담고 있는 개념으로 소비자들이 브랜드를 떠올리는데 중요한 정보 노드로 인식된다. 브랜드를 연상시키는 데에는 시각적, 언어적, 청각적 단서들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시각적 단서, 특히 색채는 가장 강력한 브랜드 연상 작용을 일으킨다. 이에 본 연구는 브랜드 색채 인지도 향상을 위한 색채 터치포인트의 활용 방안에 대해 탐구하였다. `터치포인트`가 브랜드 색채의 커뮤니케이션 채널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에게 브랜드 색채를 전달할 수 있는 터치포인트에 한해 `색채 터치포인트`라 정의하고 이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실증 연구는 크게 세 단계로 구성된다. 첫번째로 색채 터치포인트의 유형을 정의하였다. 브랜드를 선정한 후 워크샵을 통해 색채 터치포인트를 추출하였으며, 디자인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여 색채 터치포인트를 11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브랜드 색채 터치포인트 휠을 도출하였다. 두번째로 각 유형의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소비자 설문을 실시하여 앞서 선정한 33개의 브랜드에 대해 각 유형의 영향력을 11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군집 분석을 진행한 결과, 색채 터치포인트의 유형별 영향력 중요도에 따라 브랜드가 여섯 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군집별 주요 색채 터치포인트가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각 군집의 브랜드 속성에 대해 파악하고 주요 색채 터치포인트의 인지 요인을 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색채 터치포인트는 브랜드를 사용 또는 구매하기 전 단계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색채 터치포인트의 유형별 영향력은 브랜드 속성에 따라 상이해짐이 파악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 브랜드 속성에 따른 색채 터치포인트 활용 방안 가이드라인을 정립하였다. 이는 실행 단계에서 디자인을 통한 체계적인 터치포인트의 통합적 관리를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Advisors
정경원researcherChung, Kyung Wonresearcher남기영researcherNam, Ki Young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산업디자인학과,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5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디자인학과, 2015.2 ,[v, 72p :]

Keywords

색채 터치포인트; 브랜드 색채; 브랜드 터치포인트; 브랜드 인지; 브랜드 지식; 브랜드 아이덴티티; color touchpoint; brand color; brand touchpoint; brand awareness; brand knowledge; brand identity

URI
http://hdl.handle.net/10203/206152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08350&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ID-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