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앰비언트 디스플레이에서의 정보시각화를 위한 추상화 모델An abstraction model for information visualization on public ambient display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833
  • Download : 0
주변에 디스플레이가 증가함에 따라 공공 장소에 위치한 앰비언트 디스플레이가 증가하고 있으며, 정보 시각화는 추상적인 데이터를 시각적 메타포에 매핑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개발하고 그 인식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독립적인 연구 분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앰비언트 디스플레이에서의 정보 시각화는 측정된 데이터를 보여주는 적합한 형태에 대한 증명이 부족하다. 특히 다른 시각화 방법과 비교 평가하는 연구가 드물다.본 연구는 공공 앰비언트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적합한 정보시각화를 위해 앰비언트 디스플레이의 특성과 환경을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연구 현황과 기존 공공 앰비언트 디스플레이에서의 정보 시각화 사례 분석을 통해 정보 시각화 과정 중 정보를 시각적 재현으로 추상화하는 과정을 돕기 위해 세 단계의 추상화 모델을 제안하였다. 추상화 단계가 높아짐에 따라 각각의 단계에 정보를 선별하고 시각화 방법 및 시각화 요소를 추출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추상화 모델을 적용하여 제작한 세 단계의 정보시각화를 비교 실험을 통해 공공 앰비언트 디스플레이 환경에 적합한 추상화 정도를 도출하고 사용자의 정보 이해와 인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정량적이고 정성적인 실험을 통해 각각의 정보시각화를 감상하고 분석한 결과, 공공 앰비언트 디스플레이에서는 정보에 대한 이해도는 부족하지만 심미적이고 추상화된 정보 시각화를 보기를 원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본 실험에서 도출된 결론을 통해 공공 앰비언트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적합한 정보 시각화에 대해 논의하고 향후 다양한 형태의 앰비언트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정보 시각화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며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Advisors
원광연researcherWohn, Kwang-Yun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4
Identifier
568869/325007  / 020123206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2014.2, [ v, 76 p. ]

Keywords

공공 앰비언트 디스플레이; 정보시각화; 추상화모델; Ambient information visualization; 앰비언트 정보시스템; Public ambient displays; Visual abstraction model

URI
http://hdl.handle.net/10203/198026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568869&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GCT-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