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레오 증강현실 홀로그램의 전시 및 공연에서의 활용과 평가Usages and evaluation of 3D stereoscopic AR hologram for exhibits and performance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298
  • Download : 0
물리적인 스크린의 틀에서 벗어나 3차원 공간상에 정보를 표현하고 싶어 하는 인간의 욕구를 바탕으로 홀로그램과 관련된 개념은 과학적, 문화적으로 중요하게 언급되어왔다. 그 중 플로팅 방식의 홀로그램은 가장 널리 쓰이는 방식으로써 최근 프로젝터와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전하면서 전시 및 공연 환경에서 활용이 증가되었다. 그러나 하프미러 필름을 통해서 실제 물체 위에 가상 이미지를 표현하는 증강현실 홀로그램의 경우에는, 가상의 이미지가 공중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이기는 하나, 실제 오브젝트와 하프미러 필름을 통해 반사된 가상의 이미지가 공간상에서 완벽하게 결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하프미러 기반의 증강현실 홀로그램을 전시 및 공연 환경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증강현실 홀로그램 시스템을 구축하고, 실험을 통해 시스템의 효과성을 검증한 뒤, 그 활용 가능성에 대해 논하는 것이다. 제안된 시스템은 별도의 추가 장치 없이, 단지 하프미러 필름을 통해서 비교적 쉽고 간단하게 3차원 공간상에서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증강현실 홀로그램을 표현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증강현실 홀로그램에 3D 입체 영상과 인터랙션을 적용하였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공간적 현존감, 3차원적인 인지적 깊이감 및 공간감을 보다 효과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제안된 시스템을 충분히 활용하여, 기존의 홀로그램을 전시 및 공연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실험을 통해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증강현실 홀로그램은 전시 및 공연에서 내용을 전달함에 있어 3차원 깊이감과 공간감 형성을 통해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콘텐츠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Advisors
원광연researcherWohn, Kwang-Yun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4
Identifier
568865/325007  / 020123086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2014.2, [ vi, 67 p. ]

Keywords

half-mirror projection; 3D stereoscopic; HCI; 증강현실 홀로그램; 플로팅 홀로그램; 하프 미러 프로젝션; 3D 스테레오스코픽; HCI; AR hologram; floating hologram

URI
http://hdl.handle.net/10203/198022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568865&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GCT-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