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력을 기반으로 하는 키네틱 인터랙션 디자인Kinetic interaction design based on magnetism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226
  • Download : 0
최근에는 컴퓨팅 테크놀로지가 일상제품과 환경에 침투하고 있다. HCI 분야에서는 이러한 일상제품과 환경에 테크놀로지를 자연스럽고 쉬운 방법으로 침투시키기 위하여 인터랙티브 컴퓨팅과 형상이 정해지지 않은 전통재료와 결합하는 새로운 컨셉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이러한 재료들이 디자인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여전히 한계점이 있으며 제품레벨에서 활용 가능한 키네틱 인터랙션 테크닉에 관한 탐색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키네틱인터랙션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석이 내장된 재료를 제안한다. 이렇듯 키네틱 인터랙션이 가능한 재료를 내장한 컨셉을 구체화 하기 위하여 자석을 내장한 당기는 나무와 밀어내는 나무를 개발하였다. 자석을 내장한 당기는 나무와 밀어내는 나무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마그네티즘을 활용한 키네틱 인터랙션 테크닉을 제안하였고, 내장형재료의 주요한 특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디자이너워크샵을 통하여 디자이너들은 재료의 성질에 따라서 다른 아이디어 방향을 냄을 알 수 있었고 개발된 재료를 바탕으로 키네틱요소 내장형 재료가 어떠한 가치를 줄 수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워크숍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같은 키네틱요소의 특징을 가진 재료라 할지라도 외장 재료의 가시성에 따라서 디자이너의 의외성이 높아지거나 낮아질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외장 재료보다 키네틱요소의 특징에 따라서 재료의 기능을 결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제품단계에서 키네틱요소와 재료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플립잇이라는 게임을 개발하여 유저 스터디를 시행하였다. 키네틱요소가 내장된 재료는 어린이들의 즐거움, 집중, 호기심 등의 감정과 협동, 커뮤니케이션 측면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관찰 되었다.
Advisors
이우훈researcherLee, Woo-Hun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디자인학과,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1
Identifier
467663/325007  / 020093349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디자인학과, 2011.2, [ 75 p. ]

Keywords

임베디드 인터랙션; 디자인 재료; Embedded interaction; Design material; Kinetic interaction; 키네틱 인터랙션

URI
http://hdl.handle.net/10203/181268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467663&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ID-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