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도 상관관계를 고려한 채권 담보부 증권(CBO) 가격 결정의 실증 연구The Impact of Default Correlations on the Prices of Collateralized Bond Obligation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901
  • Download : 0
본 논문은 채권 담보부 증권(CBO)에 대하여 국내 현실에 맞는 적절한 가격 결정 모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특히, CBO 가격 결정의 중요 요소인 부도상관관계를 고려하는데 있어 Zhou(2001)의 부도상관관계 모형의 개념에 근거하여 기업가치 과정에 관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부도 상관 관계를 반영한 부도 확률 분포를 구했다. 이때 필요한 추정치들인 기업가치와 기업가치 변동성을 Black & Cox(1976)의 위험 채권 가격 결정 모형에 근거해 산출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본 논문은 다음 두가지 면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첫째는 부도 상관관계가 CBO 가격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하는 것과, 둘째는 관측 불가능한 추정치들인 기업가치와 기업가치 변동성을 Black & Cox 모형에 근거해 추정하는 방법에 대해 논하고 그렇게 해서 얻어진 부도 확률의 특징을 관찰하는 것이다. 따라서, Black & Cox 모형의 부도 확률이 같은 조건하의 KMV 모형의 부도 확률에 비해 1.2배에서 2배 내외로 높아 만기 이전 어느 시점에서든 부도날 확률을 계산하는 first passage time 모형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부도 상관관계를 고려했을 때의 CBO 모형 가격이 고려하지 않았을 때의 모형 가격 보다 매우 낮음을 확인하여 부도 상관관계가 CBO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큼을 확인하였다. 더하여 부도 상관관계 고려하지 않은 경우 모형가격이 실제 CBO 발행가격에 비해 약간 높았고 고려한 경우는 모형가격이 발행가격에 비해 매우 낮았다. 위와 같은 실증 결과에 더하여 본 논문은 채권에 대한 축척된 자료가 미비하고 신빙성 있는 전이 부도 확률이 부존하여 국내에서는 산출이 어려웠던 부도 상관관계에 대해 국내에서 적용 가능한 방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Publisher
한국파생상품학회
Issue Date
2002-05
Language
Korean
Citation

선물연구, v.10, no.1, pp.5 - 142

ISSN
1229-988X
URI
http://hdl.handle.net/10203/83661
Appears in Collection
MT-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