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슬러지와 음식물쓰레기의 혼합소화시 혼합비율과 기질농도에 따른 분해특성Degradation characteristics in anaerobic co-digestion of sewage sludge and food waste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884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항식ko
dc.contributor.author김현우ko
dc.contributor.author한선기ko
dc.contributor.author강석태ko
dc.date.accessioned2013-03-04T16:27:33Z-
dc.date.available2013-03-04T16:27:33Z-
dc.date.created2012-02-06-
dc.date.created2012-02-06-
dc.date.created2012-02-06-
dc.date.issued2002-03-
dc.identifier.citation유기물자원화, v.10, no.1, pp.96 - 101-
dc.identifier.issn1225-6498-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8326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최적의 소화환경 하에서 하수슬러지에 순응된 고온 및 중온 식종균을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와 하수슬러지를 다양한 비율로 섞어 회분식 혼합소화하여 최대 메탄생성 및 메탄생성율(MPR)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고온과 중온조건에서 모두 음식물쓰레기의 투입분율과 농도의 증가에 따라 BMP수치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40% 이상의 음식물쓰레기 투입은 lag-phase의 장기화가 예상되었다. 누적메탄생성그래프의 비선형 회귀분석 결과 40%의 음식물쓰레기 투입분율에서 가장 높은 메탄생성 속도를 보였으며 50% 이상의 음식물쓰레기 투입은 메탄생성율 증가에 유리하지 못하였다. 고온조건에서의 혼합소화는 기질농도가, 중온조건에서는 기질의 농도와 음식물쓰레기 투입분율 모두가 메탄생성을 좌우하는 중요인자로 판단되었다. 혼합소화의 상승효과는 C/N 비로 대변되는 nutrient balance와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에 의한 전체 혼합기질의 가수분해 동역학적 상수값의 증가 때문으로 사료된다.-
dc.languageKorean-
dc.publisher유기성자원학회-
dc.title하수슬러지와 음식물쓰레기의 혼합소화시 혼합비율과 기질농도에 따른 분해특성-
dc.title.alternativeDegradation characteristics in anaerobic co-digestion of sewage sludge and food waste-
dc.typeArticle-
dc.type.rimsART-
dc.citation.volume10-
dc.citation.issue1-
dc.citation.beginningpage96-
dc.citation.endingpage101-
dc.citation.publicationname유기물자원화-
dc.identifier.kciidART000918813-
dc.contributor.localauthor신항식-
dc.contributor.localauthor강석태-
dc.contributor.nonIdAuthor김현우-
dc.contributor.nonIdAuthor한선기-
Appears in Collection
CE-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