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College of Engineering(공과대학)" by Type Conference

Showing results 79981 to 80000 of 90952

79981
반잠수식 모바일 하버에 도입될 자동창고 시스템의 크기 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김대환; 한순흥; 정현, 대한조선학회추계학술대회, 대한조선학회, 2010-10-21

79982
반전된 깃발의 운동패턴에 작용하는 유동 상류의 둔각물체의 영향

김현성; 김준영; 김대겸, 한국가시화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한국가시화정보학회, 2015-12-04

79983
반절연 기판상의 GaAs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작

권영세; 정웅, 대한전자공학회 하계 종합학술대회, 1985

79984
반타원 모양의 패치를 이용한 이중 대역 다중 입출력 안테나

권덕수; 황인준; 김광석; 오경섭; 유종원, 2014년 한국전자파학회 하계종합학술대회, 한국전자파학회, 2014-08

79985
반투명 박막형 전극을 이용한 광-보조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전환 시스템

강필웅; 이현주, 한국화학공학회 2022년도 봄 총회 및 학술대회, 한국화학공학회, 2022-04-22

79986
반향 및 잡음환경 음성인식에서의 음향 모델 성능 비교 연구

임성민; 서영주; 김회린, 한국음성학회 봄학술대회, pp.20, 한국음성학회, 2018-05-26

79987
받음각 및 옆미끄럼각의 비선형 추정 기법

탁민제; 진재현; 이훈구, 한국항공우주학회 93년 춘계학술발표회, 한국항공우주학회, 1993-04

79988
받음각 추정을 위한 비선형 관측기에 대한 연구

탁민제; 박봉규, '92 한국항공우주학회 추계학술발표회, 1992-11

79989
받음각 효과를 고려한 유격이 있는 날개의 공탄성 해석

김종윤; 유재한; 박영근; 이인,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5-04

79990
받음각을 갖는 에어포일 후류에서의 와류특성

정용운; 박승오, 한국항공우주학회 2001년 추계학술발표회, pp.458 - 461, 한국항공우주학회, 2001-11

79991
받음각을 갖는 타원형 실린더의 Vortex Shedding Mechanism 에 관하여

박진구; 박승오, 한국항공우주학회 춘계학술대회, pp.8 - 13, 한국항공우주학회, 1986-04

79992
발사체 경량화를 위한 복합재 추진제 탱크의 액체질소 저장 및 가압 시험

강상국; 김명곤; 김천곤; 공철원, 제8회 우주발사체 심포지엄, 제8회 우주발사체 심포지엄, 2007-02-22

79993
발사체 분리 후 초기 궤도에서 위성 동역학 분석

김응현; 이동헌; 임이랑; 방효충; 최석원, 한국우주과학회 추계학술발표회 2011, 한국우주과학회, 2011-10-27

79994
발사체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술투자계획 최적화 모델 연구

Hong, Seul Ki; Ahn, Jae Myung, 2015년도 한국항공우주학회 추계학술대회,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11-20

79995
발사체 이륙 시 음향 하중 예측 정확도 향상

최상현; 이정권; 이익진, 2014년도 춘계 소음진동 학술대회, pp.207 - 210,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4-04-25

79996
발사체 이륙 음향하중 예측 시 화염유도로 반사 효과 고려

최상현; 이정권; 이익진, 2014 한국음향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한국음향학회, 2014-11-13

79997
발사체 자세제어를 위한 100, 250 N 급 상용 과산화수소 단일추진제 추력기 개발

안성용; 권세진, 한국추진공학회 추계학술대회, 한국추진공학회, 2009-11-19

79998
발사체 자세제어를 위한 100N급 과산화수소 추력기

조성권; 안성용; 권세진, 제10회 우주발사체 심포지움, pp.175 - 179, 2009-01-20

79999
발사체 재사용을 위한 자세 제어 기법 연구

이상돈; 황준섭; 전호영; 이창훈; 안재명; 김종한, 한국추진공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한국추진공학회, 2021-11-25

80000
발사체 재사용을 위한 재진입 및 착륙 연구

이창훈; 안재명; 김종한, 한국추진공학회 2019 추계학술대회, pp.329 - 330, 한국추진공학회, 2019-11-28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