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의 스타일 분석 및 스타일 지속성과 펀드 성과의 관계The style analysis of funds and the relationship of style consistency on fund performance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651
  • Download : 0
국내에서 주식형 펀드의 스타일 투자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는 반면, 한국 펀드 시장의 현 상황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스타일과 펀드 성과의 관계에 대해 알려진 바는 거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510개의 국내 펀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Sharpe (1992)의 스타일 분석 방법을 통한 펀드 스타일과 성과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현재 한국 펀드 사장은 전체 자산 중 27%를 무위험 자산에, 17%를 대형 가치주에, 21%를 대형 성장, 23%를 중소형 가치주에, 12%를 중소형 성장주에 투자한 포트폴리오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군집분석 결과 한국 주식형 펀드 시장은 가치 스타일을 표방하는 다수 군집 (48%)과 나머지 소수 군집들로 나눌 수 있으며 다수 군집은 군집간 펀드들의 거리도 가까운 특징을 보인다. 스타일 지속성과 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타일 지속성이 높은 펀드가 스타일 지속성이 낮은 펀드보다 더 높은 상대 수익률과 더 높은 위험 조정 수익률을 발생한다. 둘째, 스타일 지속성과 성과사이의 이러한 관계는 스타일별로 극명한 차이를 보인다. 대형-성장 스타일에서 스타일 지속성과 성과 사이의 양의 관계가 가장 강하게 관찰되는 반면, 소형-가치 스타일에서는 이 관계가 가장 약하게 관측되었다.
Advisors
조훈researcherCho, Hoon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과,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0
Identifier
454796/325007  / 020083245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과, 2010.2, [ v, 53 p. ]

Keywords

스타일 지속성; 펀드 성과; 펀드 스타일 분석; Sharpe의 스타일분석; Sharpe`s style analysis; style consistency; fund performance; funds` style analysis

URI
http://hdl.handle.net/10203/52831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454796&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KGSM-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