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S 스프레드 설명을 위한 혼합모형 실증연구An empirical analysis of the hybrid model for CDS spread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497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재선-
dc.contributor.advisorNoh, Jae-Sun-
dc.contributor.author정재우-
dc.contributor.authorJung, Jai-Woo-
dc.date.accessioned2011-12-27T01:43:23Z-
dc.date.available2011-12-27T01:43:23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454792&flag=dissertation-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52827-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과, 2010.2 , [ v, 47 p. ]-
dc.description.abstract개별 기업의 신용 위험을 평가하거나 부도가 일어나서 파산되는 경우를 예측할 때 평가 모형으로서 회계정보에 기초한 모형 또는 주식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모형이 주로 사용된다. 또한, 신용부도스왑 스프레드는 신용등급이나 기타 위험수준을 나타내는 수단보다 준거 기업의 신용상태를 더욱 잘 대표하기 때문에 해당 기업의 신용위험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로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전 연구들을 살펴보면 신용등급과 같은 요소들이 신용위험을 평가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경우 시장정보를 기초로 한 모형이 회계정보를 기초로 한 모형보다 더 신용위험을 더 잘 예측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번 논문에서는 신용부도스왑 스프레드가 신용위험을 측정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경우 다른 결과를 나타낸다. 즉 회계정보를 기초로 각종 재무비율들을 설명변수로 반영한 모형이 설명력이나 예측력을 평가 기준으로 볼 때 주식 관련 데이터를 기초로 부도거리와 기업의 자산가치를 설명변수로 반영한 모형보다 더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회계정보를 기초로 한 모형은 시장이 비효율적인 경우에 시장정보에 의해 파악되지 않은 요소까지도 보완해주기 때문에 회계정보와 시장정보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모형의 경우 회계정보나 시장정보만을 개별적으로 사용한 모형보다 스프레드를 좀 더 잘 예측한다.kor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시장모형-
dc.subject회계모형-
dc.subject신용부도스왑 스프레드-
dc.subject혼합모형-
dc.subjecthybrid model-
dc.subjectmarket-based model-
dc.subjectaccounting-based model-
dc.subjectCDS Spread-
dc.titleCDS 스프레드 설명을 위한 혼합모형 실증연구-
dc.title.alternativeAn empirical analysis of the hybrid model for CDS spread-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454792/325007 -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과, -
dc.identifier.uid020083489-
dc.contributor.localauthor노재선-
dc.contributor.localauthorNoh, Jae-Sun-
Appears in Collection
KGSM-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