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네트워크가 개인의 다면평가와 다면평가제도의 공정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impact of social network on multi-source assessment and fairness percep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547
  • Download : 0
사회 네트워크에 대한 관심이 최근 증가하고 있고 사회 네트워크가 개인의 경력이나 직무유효성 등에 유리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일반적인 믿음이 존재하나 이와 관련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사회 네트워크와 다면평가 또는 다면평가의 공정성 지각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 연구는 다면평가 결과가 다면평가제도의 공정성 지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크기, 강도, 범위와 같은 사회 네트워크의 특성이 다면평가의 결과와 다면평가제도의 공정성 지각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그리고 사회 네트워크의 특성이 다면평가 결과가 공정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절변수의 역할을 하는지 등을 알아보려 한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면평가 결과는 다면평가 제도의 분배공정성 지각에 (+)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 네트워크의 특성이 개인의 다면평가 결과에 부분적으로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직무 네트워크상의 팀외 네트워크의 강도(친밀도, 빈도, 지속성의 평균값)가 강할수록 다면평가 결과가 높게 나온다는 사실로부터 알 수 있다. 셋째, 사회 네트워크의 조절효과는 직무 네트워크상의 팀외 구성원의 크기가 클수록 그리고 직무 네트워크상의 팀외 네트워크의 강도(친밀도, 빈도, 지속성의 평균값)가 강할 수록 절차공정성을 높게 지각한다는 사실로 일부 지지되었다. 넷째, 직무네트워크상의 팀내 구성원과의 강도가 절차공정성 지각에 경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효과를 갖고 있는 있고 직무 네트워크상의 팀외 네트워크의 강도(친밀도, 빈도, 지속성의 평균값)가 높을수록 분배공정성을 높게 지각한다는 사실도 나타났다.
Advisors
이승윤researcherRhee, Seung-Yoon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테크노경영전공,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09
Identifier
309839/325007  / 020074028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테크노경영전공, 2009.2, [ v, 40 p. ]

Keywords

social network; multi-source assessment; fairness conception; 사회 네트워크; 다면평가; 공정성 지각

URI
http://hdl.handle.net/10203/52807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309839&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KGSM-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