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위험예측 혼합모형 실증연구An empirical study on the hybrid model of the financial distress predic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521
  • Download : 0
기업의 신용위험을 예측하고 분석하는 연구는 현대 재무론의 주된 관심사 중의 하나였으며 그에 따라 지금까지 기업의 신용위험측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금융시장에서 발생하는 많은 현상들이 기업 사이의 상호적인 계약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은, 기업의 신용위험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앞으로의 위험을 예측하는 일들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신용위험예측연구의 중요성으로 인하여, 신용위험을 설명하는 문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리고 기업의 신용위험을 예측하는 신용위험예측모형에 대해서도 다양한 모형이 제시되어 왔으며 이러한 각각의 모형을 서로 비교 분석하는 연구도 이루어져 왔다. 본 논문은 Merton구조모형과 Leland구조모형의 구조적 성격에 재무정보를 결합해서 얻어지는 혼합모형이 개별기업의 신용위험을 평가함에 있어서 구조모형보다 나은 성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보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Merton구조모형에서는 데이터를 사용함에 있어서 시장에서 획득 가능한 정보들에만 의존하며 Leland구조모형에서는 추가적으로 는 세금효과, 부도비용효과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신용위험을 예측하고 그에 따라 Merton구조모형에 비해 개선된 모습을 보여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재무정보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독립변수들을 추가적으로 고려하면 위의 Merton구조모형과, 개선점들을 고려한 Leland구조모형 모두에 대해서 개선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Advisors
노재선researcherNoh, Jae-Sun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전공,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09
Identifier
309782/325007  / 020073554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전공, 2009.2, [ v, 39 p. ]

Keywords

risk; credit; hybrid; 위험; 신용; 혼합

URI
http://hdl.handle.net/10203/52788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309782&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KGSM-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