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주별 관람객수 결정 모형 개발 및 흥행 성적 예측 : 수요자와 공급자의 의사 결정 과정을 기반으로Modeling weekly box office revenue of motion pictures: based on demand and supply side decision-making factor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108
  • Download : 0
영화 산업은 그 경제적, 문화적 중요성이 널리 인식됨에 따라, 최근 들어 마케팅 분야 연구자들에 의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리고 인터넷을 통해 자동으로 집계되는 풍부한 데이터들은 영화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에 대한 계량적 연구들을 촉진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의 주별 관람객수와 스크린수 사이의 동적 관계를 설명하는 계량적 모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모형은 영화와 관련된 수요자 및 공급자 각각의 의사 결정 과정을 반영하였고, 주별 관람객수와 주별 스크린수 사이의 상호 의존적인 관계 또한 설명하고 있다. 또한 제안한 모형은 정보의 가능 시기에 따라 영화의 흥행을 결정하는 요인의 종류 및 그 영향력이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하고 있다. 그리고 영화의 흥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는 구전효과에 대해 인터넷 평점을 그 대용변수로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한국에서 2006년도에 개봉한 영화를 분석 표본으로 사용하여 모형을 개발하였고 이로부터 영화의 흥행을 결정하는 중요 요인의 종류 및 그 영향력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밝혀내었다. 추정된 모형을 바탕으로 2007년에 개봉한 영화들을 검증 표본으로 하여 흥행 성적을 예측하였고, 그 결과 기존 모형들보다 예측력이 개선됨을 보였다.
Advisors
전덕빈researcherJun, Duk-Bin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전공,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07
Identifier
268897/325007  / 020033450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전공, 2007. 8, [ v, 54 p. ]

Keywords

Motion Picture Industry; Word of Mouth; Dynamic Forecasting; 영화 산업; 구전 효과; 동적 예측과정

URI
http://hdl.handle.net/10203/52687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268897&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KGSM-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