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가치 변동성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 Merton모형을 적용하여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firm value volatility using the Merton model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847
  • Download : 0
기업가치의 변동성은 기업의 위험과 직결되어 투자적 목적으로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옵션, 선물 등 파생상품의 기초자산의 변동성과도 연관되어 금융공학적 목적으로서도 중요하다. 그러므로, 기업가치의 변동성을 파악해 보고 이에 영향을 끼치는 재무적, 거시경제적 요소들을 파악하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기업 가치 및 기업가치의 변동성 자체는 시장에서 직접 평가되지 않아서, 가시적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먼저 이 논문에서는 Merton 모형(1974)을 통해서 기업 가치의 내재 변동성을 추정하였다. 그리고 나서, 기업가치의 내재 변동성을 종속 변수로 놓고 재무적, 거시경제적 변수들을 독립변수들로 놓아 회귀 분석을 실행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독립변수들을 찾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재무 변수들로서는 부채비율, 자기자본비율을 사용하였고, 거시 경제적 변수들로서는 무위험 이자율(CD 91개월물), Kospi 지수의 변동분(3개월), 코스피 수익률(3개월), Kospi 200 옵션 내재변동성을 사용하였다. Kospi 200 옵션을 사용한 이유는 최근 들어서는 파생상품 시장 역시 경제적 상황을 빨리 반영할 만큼 충분히 효율적이라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또한, Merton 모형에서도 Black-Scholes 모형에서와 같은 변동성 미소(Volatility Smile or Volatility Skew) 현상이 나타나는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Advisors
강장구researcherKang, Jang-Koo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전공,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09
Identifier
309805/325007  / 020073846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전공, 2009.2, [ v, 31 p. ]

Keywords

Merton model; Firm value volatility; KMV model; Volatility smile; 머튼 모형; 기업가치 내재변동성; 재무 / 거시경제적 결정 요인; 변동성 미소

URI
http://hdl.handle.net/10203/52390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309805&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KGSF-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