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채와 신용부도스왑 가격을 이용한 신용 스프레드 분석An empirical analysis on credit spreads using corporate bonds and credit default swap price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723
  • Download : 0
본 논문에서는 부도위험 요소를 측정함에 있어 축약 모델을 이용하여 회사채 스프레드 내에서 부도위험 요소와 비부도위험 요소를 구분하여 그 크기를 계산해 보았다. 여기서는 Longstaff, Mithal, Neis(2005)가 부도위험과 비부도 위험(유동성 위험) 할인의 개념을 이용하여 제안한 회사채 가격과 신용부도스왑의 프리미엄에 대한 폐쇄형 해(closed form expression)를 통해 부도위험 요소를 계산한다. KT를 비롯한 4개 기업의 외화표시 채권과 신용부도스왑의 가격을 이용하여 부도위험과 비부도 위험의 크기를 계산해 보았다. 그 결과 부도위험 요소가 회사채 스프레드 내에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A등급의 채권이라고 할지라도 60% 이상이 부도위험으로 구성되어 있고 신용등급이 낮아 질수록 부도위험 요소가 더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프레드의 대부분을 부도위험이 차지하고 있지만 전부를 설명할 수 없으며 무시할 수 없는 비부도 위험의 존재를 또한 확인하였다. 비부도위험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고 신용등급에 따라서도 변한다. 부도위험 요소와 마찬가지로 신용등급이 낮아질수록 값이 커지긴 하지만 부도위험의 변동폭에 비해 차이가 거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dvisors
김동석researcherKim, Dong-Suk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공학전공,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07
Identifier
262151/325007  / 020053776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공학전공, 2007.2, [ iv, 41 p. ]

Keywords

신용부도스왑; 신용 스프레드; credit default swap; credit spreads; CDS

URI
http://hdl.handle.net/10203/52327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262151&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KGSF-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