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율파생상품에 대한 이자율 기간구조의 영향과 변동성 요인 분석 : KRW IRS swaption을 중심으로An empirical analysis of common factors governing the implied volatility movements of KRW IRS swaption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910
  • Download : 0
대부분의 이자율 기간구조 모형은 채권시장이 완전하다고 가정하고 있다. 즉, 모든 이자율 파생상품은 채권만으로도 완벽하게 복제가 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스왑 이자율들이 원화 이자율 스왑션 변동에 대해서 평균적으로 48%미만의 제한적인 설명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 이자율 기간구조에 의해서 이자율 파생상품이 복제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파생상품의 요인들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는 의미이며, 세 가지의 변동성 요인을 추가로 고려하였을 시에, 원화 이자율 스왑션 변동의 88%이상을 설명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세가지 변동성 요인들은 주로 옵션 만기에 따른 변동성의 기간구조를 설명해 주는 요인이었고, 스왑 만기에 따른 변동성 기간구조를 설명해 주는 요인들은 스왑 이자율의 공통 요인에 의해서 대부분 설명이 되어 진다고 이해할 수 있었다. 이로써 이자율 기간구조의 잔차는 이자율 파생상품의 가격 결정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잔차의 영향을 고려하여 이자율 파생상품의 가격 결정을 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위험관리 목적으로 변동성 요인을 사용하기 위한 안정성 검증 결과, 일간 자료를 주간 자료로 바꾼 경우에 결과가 크게 차이가 없었으며, 표본외 검증 결과 표본 내 결과와의 백분율 차이는 17% 이내 이었고, 변동성 요인들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Advisors
강장구researcherKang, Jang-Koo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공학전공,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06
Identifier
255672/325007  / 020043828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공학전공, 2006.2, [ v, 33 p. ]

Keywords

이자율파생상품; 이자율기간구조; 스왑션; Swaption; Interest derivatives; Term structure

URI
http://hdl.handle.net/10203/52301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255672&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KGSF-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