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스켓 신용파생상품의 가격결정에 관한 사례연구Case study on the valuation of multi-name credit derivative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793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동석-
dc.contributor.advisorKim, Tong-Suk-
dc.contributor.author김현우-
dc.contributor.authorKim, Hyon-Woo-
dc.date.accessioned2011-12-26T08:39:58Z-
dc.date.available2011-12-26T08:39:58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255653&flag=dissertation-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52282-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공학전공, 2006.2, [ v, 55 p. ]-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바스켓 신용파생상품의 가격결정에 관해 두 가지 모형을 이용하여 국내에서 거래된 Credit Linked Note(CLN)에 대한 사례분석을 한다. 첫 번째는 Gaussian Copula를 이용하여 상관관계가 반영된 부도시간을 시뮬레이션하는 모형이다. 이를 통해 CLN에 내재된 바스켓 Credit Default Swap(CDS)의 가격을 산정한다. 두 번째는 요인모형(factor model)을 이용해 적정가치를 산정한다. 특히 요인모형은 바스켓 신용파생상품의 가치를 시뮬레이션을 하지 않고 닫힌 해와 유사한 형태로 제공하기 때문에 계산시간의 단축 및 민감도 분석에 유용하다는 장점이 있다. 사례분석 결과 두 모형 모두 CLN spread가 실제 발행금리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실제 거래에서는 자산상관계수나 회수율의 가정이 본 논문과 다를 수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first-to-default(FTD) 뿐만 아니라 nth-to-default까지 확장하여 바스켓CDS spread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바스켓 신용파생상품의 가격결정에 중요한 요소인 자산상관계수와 회수율 변화가 CDS spread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바스켓 신용파생상품의 가격산정에 대해 실무적 활용도가 높은 방법론을 제시한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특히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지 않고 가격을 산정하는 요인모형의 경우 계산시간이나 민감도분석 면에서 보다 효과적인 방법론으로 판단된다.kor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요인모형-
dc.subject신용연계스왑-
dc.subject정규 copula-
dc.subjectGaussian copula-
dc.subjectfactor model-
dc.subjectCredit default swap-
dc.title바스켓 신용파생상품의 가격결정에 관한 사례연구-
dc.title.alternativeCase study on the valuation of multi-name credit derivatives-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255653/325007 -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 금융공학전공, -
dc.identifier.uid020043734-
dc.contributor.localauthor김동석-
dc.contributor.localauthorKim, Tong-Suk-
Appears in Collection
KGSF-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