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부 OLS 최소분산 모형의 헤지효과에 관한 실증연구An empirical study on Hedge effectiveness of conditional OLS minimum variance model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090
  • Download : 0
금융시장의 개방화, 국제화에 따른 국내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의 증대는 금리, 주가, 환율 등 투자자의 금융자산 및 부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위험요소들의 변동폭이 확대되는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이렇게 헤지의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보유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을 최소화화는 최적 헤지비율을 과연 어떻게 구하느냐에 대해 또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논문은 KOSPI 200 현물/선물가격 관련자료를 바탕으로 최근에 발표된 조건부 OLS 모형의 헤지효과를 단순 헤지, 전통적 OLS 모형, 이변량 GARCH 모형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OSPI 200 주가지수 현물과 선물의 가격변수는 단위근이 존재하는 불안정한 시계열로 나타났으며, 양 가격의 1차 차분변수는 단위근이 없는 안정적 시계열 자료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물가격과 선물가격에 대한 공적분 검정 결과, 공적분 관계식이 하나 존재하는 것으로 나와 장기균형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셋째, 전통적 OLS와 조건부 OLS의 모형에 대한 적합성 분석 결과, 조건부 OLS 모형의 설명력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넷째, 모형별로 헤지효과를 비교해 본 결과, 내표본에서는 조건부 OLS 모형(상수 베이스)이, 외표본에서는 오차수정항을 포함한 GARCH 모형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전통적 OLS 최소분산 모형에 경제정보 변수들의 영향력을 감안하여 시간가변적 헤지비율을 구하는 조건부 OLS 모형은 앞으로 더욱 다양한 자료를 통해 검증이 필요하며, 동 모형을 이용한 실증분석시 분석 대상자료에 대한 영향력이 큰 설명변수들을 어떻게 선정할 것인가가 중요하다는 것에 유념해야 하겠다.
Advisors
변석준researcherByun, Suk-Joon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공학전공,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05
Identifier
244426/325007  / 020033850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공학전공, 2005.2, [ v, 40 p. ]

Keywords

헤지효과; 헤지비율; 조건부 OLS 최소분산 모형; Conditional OLS Minimum variance model; Hedge effectiveness; Hedge ratio

URI
http://hdl.handle.net/10203/52248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244426&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KGSF-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