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D구조에서 Mg의 도핑 농도를 달리한 GaN 박막의 미세구조 연구A study on microstructure of GaN films in a LED structure with various Mg doping level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021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정용-
dc.contributor.advisorLee, Jeong-Yong-
dc.contributor.author이재욱-
dc.contributor.authorLee, Jae-Wook-
dc.date.accessioned2011-12-15T01:47:21Z-
dc.date.available2011-12-15T01:47:21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243754&flag=dissertation-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51663-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신소재공학과, 2005.2, [ iv, 105 p. ]-
dc.description.abstract3족 질화물은 직접천이형 와이드 밴드갭 물질로 광전자 소자로의 활용가능성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GaN는 GaN 성장을 위한 적절한 기판의 부재로 인해 사파이어 기판 위에서 성장시키게 되는데 이 때 GaN와 사파이어 기판 사이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와 격자상수의 차이로 인해 수많은 결함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고효율의 발광소자 제작을 위해서는 낮은 저항값과 높은 홀 농도를 가지는 p-type GaN가 필수적이고 이는 보통 Mg을 도핑함으로서 얻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LED구조를 가지는 GaN 박막의 Mg 도핑 농도를 달리하여 Mg의 도핑농도에 따른 GaN의 미세구조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Mg의 도핑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나선 전위의 밀도는 증가하다 다시 감소하였지만 그 변화폭은 크지 않았다. 그러나 칼날 전위의 전위 밀도는 Mg의 도핑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g의 도핑 양이 어떤 임계값을 넘어서면 inversion domain boundary가 생성되었으며 그 결과 GaN의 극성이 Ga 극성에서 N 극성으로 바뀜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N 극성의 GaN 형성으로 인해 GaN의 표면에 육각형 형태의 hillock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kor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극성반전-
dc.subject발광소자-
dc.subject마그네슘 도핑-
dc.subject가용화-
dc.subjectInversion domain boundary-
dc.subjectMg doping-
dc.subjectp-type GaN-
dc.subjectLED-
dc.subject플럭스-
dc.titleLED구조에서 Mg의 도핑 농도를 달리한 GaN 박막의 미세구조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microstructure of GaN films in a LED structure with various Mg doping levels-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243754/325007 -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 신소재공학과, -
dc.identifier.uid020033494-
dc.contributor.localauthor이정용-
dc.contributor.localauthorLee, Jeong-Yong-
Appears in Collection
MS-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