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용알루미늄의 저온 Creep 기구에 대한 연구Investigation of primary creep deformation mechanism of commercially pure alumium at ambient temperature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9297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남수우-
dc.contributor.advisorNam, Soo-Woo-
dc.contributor.author진근찬-
dc.contributor.authorChin, Keun-Chan-
dc.date.accessioned2011-12-15T01:44:05Z-
dc.date.available2011-12-15T01:44:05Z-
dc.date.issued1977-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2219&flag=dissertation-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51465-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재료공학과, 1977.2, [ vi, 79 p. ]-
dc.description.abstract순도 99.8 wt\% 이상의 상용알루미늄으로 $310\,^\circ \sim 355\,^\circ\!K ( 0.32 \sim 0.38Tm)$ 온도범위에서 Creep 시험을 하였다. Creep 시험조건은 온도에 따라 normalized stress $\frac{\sigma(\epsilon_o)}{E(T)}$를, 일정히 유지시켰을때 초기응력은 $48 \sim 60 Mpa$ 의 범위로 연신율이 10\% 까지 creep을 진행하였다. 초기 Creep deformation 의 특성을 알기 위하여 각각의 응력 및 온도에서 실험된 Creep 곡선으로 부터 연신율의 변화에 따라 Creep 변형속도와 절대온도의 역수, $\frac1T$의 좌표에서 직선의 기울기로 표시되는 측정활성에너지 $Q_{slope}$ 를 계산하였으며 한편 일정한 온도에서 Creep 시험중 온도를 변화시키는 Temperature cycling에 의하여 활성화에너지 $Q_{T.C}$ 를 구하였다. 이 두 방법에 의하여 구한 측정활성화에너지 $Q_{T.C}\; Q_{slope}$ 의 비교에서 $Q_{T.C}$ 는 $Q_{slope}$ 보다 큰 값으로 차이는 있었으나 일정한 응력하에서 연신율의 증가와 함께 증가되며 일정한 응력 연신율에서 응력의 감소에 따라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Stress transient dip test 에 의해 내부응력을 측정하여 유효하력을 계산하였다. 따라서 측정활성화에너지가 유효응력의 함수로 표시되는 식 $Q_c = Q_o - \sigma_e V \ast \ell (여기서 V^{\ast} = b^2 \ell^{\ast})$ 로 부터 구한 활성화길이 $\ell^{\ast}$ 와 $\sigma_e$ 에 반비례하는 $\ell^{\ast} \alpha \frac{1}{\sigma}$ 의 관계와 stress differential test 의 결과로 부터 초기 Creep 의 변형기구는 이동전위들에 의한 dislocation glide model 로 설명할 수 있다.kor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title상용알루미늄의 저온 Creep 기구에 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Investigation of primary creep deformation mechanism of commercially pure alumium at ambient temperature-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62219/325007-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 재료공학과, -
dc.identifier.uid000751116-
dc.contributor.localauthor남수우-
dc.contributor.localauthorNam, Soo-Woo-
Appears in Collection
MS-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