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O_2/TiO_2$ 로 구현한 1차원 전방향 광결정의 설계와 제작Design and fabrication of omnidirectional one-dimensional photonic crystals with $SiO_2/TiO_2$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625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해용-
dc.contributor.advisorPark, Hae-Yong-
dc.contributor.author김갑중-
dc.contributor.authorKim, Kap-Joong-
dc.date.accessioned2011-12-14T07:58:04Z-
dc.date.available2011-12-14T07:58:04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240231&flag=dissertation-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48671-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물리학과, 2004.8, [ iv, 32 p. ]-
dc.description.abstract선택가능한 주파수범위에 대하여 입사하는 빛(모든 편광)이 전방향 반사를 할 수 있는 거울의 설계는 다층 박막으로 구성된 유전체물질로 사용되었다. 전방향 거울은 1차원 광결정의 개념을 사용하여 만들어졌다. 이러한 거울을 설계하기 위하여 우리는 2가지 계산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중 하나는 transfer matrix method이고 또 하나는 평면파 전개법이다. 우리는 $SiO_2$ 와 $TiO_2$ 물질로 RF sputter를 사용해 수십 나노의 층으로 총 12층을 가지고 다른 2개의 전방향 거울을 만들었다. 본 논문에서는 400-760nm의 파장의 범위에서 0-70도의 입사각으로 2가지 종류의 거울에서 투과율을 계산하였다. 최소 85%이상의 반사율을 가지는 photonic band gaps를 측정하였다. 비록 측정과 계산사이에 약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본 논문에서는 2가지 모델을 세워 이 차이를 설명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sputtering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경계면의 모호함에 대한 분석에 대한 새로운 방법을 줄 것이라고 믿는다.kor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광결정-
dc.subjecthetero structure-
dc.subjectfabrication-
dc.subjectomnidirectional-
dc.subjectone-dimensional-
dc.subjectPhotonic crystals-
dc.subject1차원-
dc.subject전방향-
dc.subject제작-
dc.subject이중접합구조-
dc.title$SiO_2/TiO_2$ 로 구현한 1차원 전방향 광결정의 설계와 제작-
dc.title.alternativeDesign and fabrication of omnidirectional one-dimensional photonic crystals with $SiO_2/TiO_2$-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240231/325007 -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 물리학과, -
dc.identifier.uid020023033-
dc.contributor.localauthor김갑중-
dc.contributor.localauthorKim, Kap-Joong-
Appears in Collection
PH-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