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College of Life Science and Bioengineering(생명과학기술대학)" by Title 

Showing results 11921 to 11940 of 12606

11921
α-lipoic acid prevents lipotoxic cardiomyopathy in acyl CoA-synthase transgenic mice

Lee, YN; Naseem, RH; Park, BH; Garry, DJ; Richardson, JA; Schaffer, JE; Unger, RH,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v.344, no.1, pp.446 - 452, 2006-05

11922
βPix Up-regulates Na+/H+ Exchanger 3 through a Shank2-mediated Protein-Protein Interaction

Lee, Jung-Soo; Lee, Young Mee; Kim, Joo Young; Park, Hyun Woo; Grinstein, Sergio; Orlowski, John; Kim, Eunjoon; et al,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285, no.11, pp.8104 - 8113, 2010-03

11923
γδ T cells as a potential therapeutic agent for glioblastoma

Kang, In; Kim, Yumin; Lee, Heung Kyu, FRONTIERS IN IMMUNOLOGY, v.14, 2023-10

11924
μHall Chip for Sensitive Detection of Bacteria

Issadore, David; Chung, Hyun Jung; Chung, Jaehoon; Budin, Ghyslain; Weissleder, Ralph; Lee, Hakho, ADVANCED HEALTHCARE MATERIALS, v.2, no.9, pp.1224 - 1228, 2013-09

11925
간 독성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N2,N6-치환된-9H-퓨린-2,6-다이아민 (N2,N6-substituted-9H-purine-2,6-diamine)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김세윤; 한용만; 이슬기, 2018-02-08

11926
간극연접을 통한 세포간 대화가 세포 예정사에 미치는 영향 = Relationship between gap junctional cell communication and apoptosislink

임혜경; Im, Hye-Kyung;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0

11927
간극연접을 통한 세포간 대화에 미치는 인삼 추출물 ginsenoside $Rh_2$의 영향 = Effect of ginsenoside $Rh_2$ on cell-to-cell communicationlink

박경미; Park, Kyeong-Mee; et al, 한국과학기술원, 1998

11928
간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진세노사이드 F2

정원일; 정주연; 김선창; 임완택, 2017-02-22

11929
간헐적으로 첨가된 Cholesterol로부터 미생물전환에 의한 4-Androstene-3,17-dione의 생산

최상기; 김학성; 박영훈,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16, no.3, pp.187 - 192, 1988

11930
갈색거저리 유충에서 분리한 항진균 단백질 및재조합 미생물을 이용한 그의 제조방법

이복률; 한동민; 이영훈; 정재훈

11931
갑상선 기능변화에 따른 혈청 Leptin치의 변화

김현진; 김영건; 노흥규; 송민호; 김윤; 한희정; 주원찬; et 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14, no.2, pp.372 - 378, 1999-06

11932
갑상선 세포에서 ICM-1 (CD54) 유전자의 발현 조절 - ICAM-1 유전자 프로모터의 클로닝과 조절부위 분석 -

송민호; 신영태; 김영건; 노흥규,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12, no.3, pp.393 - 409, 1997-07

11933
갑상선 세포에서 Peroxiredoxin에 의한 과산화수소 및 아포프토시스 조절

김현진; 이태훈; 김도희; 권오유; 김영건; 송민호; 노흥규; et 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15, no.1, pp.55 - 69, 2000-01

11934
갑상선 세포에서 전사보조활성인자인 CBP와 CIITA는 인터페론-감마 활성 부위에 대하여 서로 다른 조절 작용을 나타낸다

유순희; 김현진; 김도희; 김영건; 송민호; 노흥규; 박수정; et 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14, no.3, pp.493 - 504, 1999-06

11935
갑상선 세포에서 전사보조활성인자인 CBP와 CIITA의 인터페론-감마 활성 부위에 대한 조절

채수흥; 홍우정; 김군순; 조영석; 김도희; 김현진; 구본정; et al, 충남의대잡지, v.28, no.1, pp.23 - 34, 2001-01

11936
갑상선 세포의 성장에 대한 TSH 및 IGF-I의 신호전달과정에서 백일해독소 예민성 G-단백의 역할

조보연; 이동수; 이가희; 송민호; 이홍규; 고창순; 민현기, 대한내과학회지, v.41, no.1, pp.94 - 102, 1991-01

11937
갑상선 세포의 증식 조절 기전

서재미; 송민호; 노흥규,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17, no.3, pp.325 - 337, 2002-01

11938
갑상선 유두암에서 MHC class II 항원의 발현과 임상양상과의 관계

이준철; 김설영; 최윤선; 배연선; 김윤정; 이인석; 권기현; et 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22, no.1, pp.26 - 34, 2007-02

11939
갑상선 유두암에서의 BRAF 변이와 예후인자와의 관계

나소영; 이준철; 권기현; 이효진; 김군순; 조영석; 구본정; et 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20, no.3, pp.224 - 229, 2005-06

11940
갑상선 자극호르몬 수용체의 신호전달

송민호,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소식, v.20, no.3, pp.1 - 7, 2000-01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