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ES 모델을 利用한 韓國에너지 需給構造 分析The analysis of Korea energy demand-supply system via PIES model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399
  • Download : 0
우리나라에서는 산업화의 진전에 따라 에너지 소비량이 지난 10년간 년평균 10\%에 달하는 증가율을 보여왔다. 통상 에너지 정책결정은 석탄석유, 및 전력등 에너지원별로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품목간의 대체효과를 감안할때 에너지 문제는 종합적인 분석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필요성이 현실화 되었을 때를 대비하여 문제해결시의 접근방법, 필요한 자료의 처리방법을 제시 하였으며 개략적인 자료를 사용하여 한국의 에너지 수급구조를 분석 하였다. 수요부문을 가계/상업, 산업, 수송부문의 세가지로 나누고 최종수요곡선을 회귀방법식에 의해 구한다. 공급측에서는 수요량과 가격이 주어졌을때 최소비용으로 수요량을 충족시킨다는 판정하에서 공급을 제한하는 여러 가지 요소를 선형계획법을 이용하여 표시 하였다. 계량경제기법으로 추정한 수요곡선과 선형계획법으로 추정되는 공급곡선이 교차하는 점에서 수요, 공급량이, 결정된다. 이를 결정하기 위해서 미에너지성에서 사용한 접근법을 취했으며 본고에서 작성한 전산모형은 에너지 정책결정을 $\ulcorner$시스템$\lrcorner$ 접근법으로 종합처리 할 수 있다는 면에서 추후 좀더 신빙성 있는 입력자료를 추정하면 실제정책 분석에 사용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dvisors
차동완researcherTcha, Dong-Wan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공학과,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1979
Identifier
62502/325007 / 000771119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공학과, 1979.2, [ vi, 69, A-25 p. ]

URI
http://hdl.handle.net/10203/41034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2502&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IE-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