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ursive least square algorithm과 vector quantization을 이용한 가변 frame 길이 음성 부호화기의 성능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a variable frame length speech coding algorithm using recursive least square algorithm and vector quantiz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398
  • Download : 0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Variable Frame Length(VFL) 음성 부호화 방식을 제안하고 computer simulation을 통하여 이에 대한 성능분석을 하였다. 제안된 음성 부호화 방식은 입력 음성 신호의 nonstationary에 따라 전송 frame 길이를 변화 시킴으로써 음성 부호화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제안된 음성 부호화 방식에서는 먼저 입력 음성 신호를 음성학적으로 유사한 특성을 갖는 frame 단위로 분리하며, 음성학적 유사성은 입력 음성 신호로 부터 얻어지는 feature vector sequence의 변화를 측정하여 결정한다. PARCOR 계수로 구성되는 feature vector sequence는 Recursive Least Square(RLS) lattice algorithm을 이용하여 입력 음성 신호를 sample-by-sample로 분석함으로써 구한다. PARCOR 계수는 이들 계수 값의 fluctuation을 줄이기위해 smoothing된다. 위와같이 구한 feature vector sequence를 이용하여 그것의 spectral distance에 따라 frame 단위로 입력 음성 신호를 분리한다. 입력 음성 신호가 유성음일때는 pitch 주기 구간이 frame 길이와 같고 음성학적으로 유사한 특성을 갖는 연속 frame을 병합하여 전송 frame을 만든다. 전송 frame 구간에 대하여 대표 feature vector를 선택하고 encoding한 후 전송한다. 전송 parameter는 scalar quantization과 Vector Quantization(VQ)의 두가지 방법에 의하여 encoding된다. computer simulation을 통하여 제안된 scalar quantization을 이용하는 VFL 음성 부호화 방식은 1400 bits/sec에서 2400 bits/sec를 갖는 standard LPC10의 음질을 구현할 수 있었다. 반면에 VQ를 사용한 VFL 음성부호화 방식에서는 전송 속도를 더욱 낮춰 650 bits/sec에서 같은 음질을 얻었다.
Advisors
이황수researcherLee, Hwang-Soo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전기 및 전자공학과,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1988
Identifier
66284/325007 / 000861194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전기 및 전자공학과, 1988.2, [ v, 64 p. ]

URI
http://hdl.handle.net/10203/39221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6284&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EE-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