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성 기반의 자동차용 소프트웨어 로봇 설계Design of an emotion-based software robot for automobile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753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종환-
dc.contributor.advisorKim, Jong-Hwan-
dc.contributor.author이윤기-
dc.contributor.authorLee, Yun-Ki-
dc.date.accessioned2011-12-14T01:55:12Z-
dc.date.available2011-12-14T01:55:12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243752&flag=dissertation-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37885-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전기및전자공학전공, 2005.2, [ viii, 67 p. ]-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텔레메틱 서비스를 위한 감성 기반의 자동차용 소프트웨어 로봇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로봇 설계의 가장 큰 주안점은 운전자에게 편안함과 안전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로봇은 로봇이 예전에 발현하였던 행동들과 운전자의 표정을 가지고 운전자의 무드와 감정을 추정한다. 감정과 무드의 추정을 통해서 로봇은 어떠한 행동이 운전자의 기분을 상하게 하는지 또 어떤 행동이 운전자를 기분좋게 하는지 알게 된다. 로봇의 상태는 차와 환경 상태로 부터 영향을 받아서 만들어지므로, 로봇 상태 자체가 환경과 차의 상태를 보여준다. 로봇 시스템은 크게 센서 부분, 인식 부분, 내부 상태 부분, 행동 선택 부분, 모션 발현 부분으로 나누어 진다. 센서 부분은 실제 세계로 부터 가공되지 않은 정보를 그대로 받는 역할을 하며, 인식 부분은 센서 데이타를 로봇이 이해 할 수 있는 형태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내부상태 부분은 운전자의 상태와 무드를 추정하며, 로봇의 상태를 생성한다. 행동 선택 부분은 어떤 로봇 행동이 현 상황에 적절한지 판단한다. 모션 발현 부분은 에니메이션, 소리, 텍스트를 통해서 선택된 행동을 표현한다. 이 로봇의 성능은kor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감성기반 소프트 웨어 로봇-
dc.subjectEmotion-based Software Robot-
dc.title감성 기반의 자동차용 소프트웨어 로봇 설계-
dc.title.alternativeDesign of an emotion-based software robot for automobile-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243752/325007 -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 전기및전자공학전공, -
dc.identifier.uid020033486-
dc.contributor.localauthor김종환-
dc.contributor.localauthorKim, Jong-Hwan-
Appears in Collection
EE-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