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산업관광 활성화를 위한 린 서비스 디자인 및 지속가능한 운영방식 구축 연구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41
  • Download : 0
본 연구는 대만의 산업관광 서비스 디자인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국내 산업관광 운영 활성화와 지속 가능한 수익 창출을 목표로 한다. 이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린 방법론을 기반으로 한 산업관광 서비스 디자인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고자 한다. 산업관광이란 1차, 2차, 3차 산업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주제로 한 현장을 중심으로 관광하는 행위이다. 이는 산업관광을 운영하는 기업과 인근 지역의 경제 활성화를 일으키는 관광 형태이다. 일례로, 해외(유럽, 대만, 일본)의 우수한 산업관광의 시설 및 단지·지역은 전시 위주의 기업 홍보뿐만 아니라 체험, 교육, 편의 등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갖추고 있다. 국내의 경우, 최근에 지역 경제 활성화의 하나로 각 지자체는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산업관광 육성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일례로, 경기도는 새로운 관광자원을 늘리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산업관광 홍보물 제작 및 상품 개발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충청북도 음성군은 '산업단지'와 ' 관광자원'을 결합한 '흥미진진한 팩토리 투어' 산업을 9개의 기업과 협약을 맺어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산업관광은 단순한 기업 견학, 산업시찰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산업시설 운영자의 기준으로 관람의 허용범위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산업관광은 국가의 관점에서도 경쟁력을 갖춘 관광자원임에도 불구하고, 해외에 비해 기업 자체의 개발과 투자 상황은 지금까지 미미한 수준이다. 이러한 지자체의 산업관광 활성화 지원 사업이 지속해서 운영되려면 관광객의 욕구를 파악하고 운영 비용을 잘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운영방식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자는 공장견학이 관광사업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는 대만의 산업관광 서비스 디자인 개선 프로젝트에 참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번째로, 산업관광 서비스 디자인 문헌 연구 및 국외 우수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하였다. 두번째로, 대만기업의 산업관광 운영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현장에 방문하여 서비스 접점 별 발생하는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세번째로, 산업관광 현장에 방문하는 고객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 인터뷰, 섀도잉을 수행하였다. 네번째로, 선행연구와 산업관광에 방문한 관광객 조사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린 기반 산업관광 서비스 디자인 전략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기존에 산업관광을 운영하는 기업의 관계자들이 본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서비스 전략을 개선할 수 있다. 둘째, 산업관광을 운영하려는 기업들이 제한된 비용으로도 기업 홍보와 관광객 증가로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셋째, 개선된 산업관광을 통해 관광객들은 기업의 역사와 브랜드 가치에 대해 더 잘 알 수 있으며, 기업에 대한 신뢰도와 충성심이 구매까지 이어질 수 있다. 넷째, 지역 산업관광 육성으로 인구감소, 고령화 등으로 침체한 지역 관광 생태계를 개선할 수 있으며, 젊은층의 유입도 기대해볼 수 있다.
Publisher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Issue Date
2023-08-25
Language
Korean
Citation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23년 하계학술대회, pp.1 - 17

URI
http://hdl.handle.net/10203/313363
Appears in Collection
GCT-Conference Papers(학술회의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