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위성-지상 하향 무선 광통신 시스템의 링크 가용성과 신뢰도Link availability and reliability of satellite-to-ground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 systems in South Korea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00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훈-
dc.contributor.advisorKim, Hoon-
dc.contributor.author김규완-
dc.date.accessioned2023-06-26T19:33:55Z-
dc.date.available2023-06-26T19:33:55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1032941&flag=dissertationen_US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309883-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전기및전자공학부, 2023.2,[v, 49 p. :]-
dc.description.abstract무선 광통신(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 FSOC) 시스템은 radio frequency(RF) 통신 시스템과 달리 넓은 대역의 주파수 자원을 별도의 규제와 승인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빠른 전송 속도와 높은 보안성 등의 여러 장점을 제공하기 때문에 차세대 무선 통신 기술로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위성-지상 하향 무선 광통신 시스템의 경우는 신호가 대기권을 통과하며, 대기 손실(atmospheric loss)로 인한 전송 성능 열화가 크고 예측하기 어렵다는 이슈가 있다. 수신 광전력은 기체 분자나 구름의 수적(cloud droplet), 에어로졸(미세먼지, 매연) 등 다양한 대기 입자들에 의하여 흡수 및 산란되어 감쇠되고, 또한 신호 빔이 통과하는 경로상 공기의 온도, 압력이 시시각각 변하기 때문에 미세하게 바뀌는 굴절률에 의하여서도 변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대기 손실은 위성-지상 하향 무선 광통신 링크의 단절(outage)를 일으켜 링크의 가용성과 신뢰도를 제한하게 된다. 무선 광통신 기지국을 설치할 특정 지역의 링크 가용성과 신뢰도를 미리 예상할 수 있어야 몇 개의 기지국을 다른 지역에 추가로 설치해야 할지 등을 판단할 수 있으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 위성-지상 하향 무선 광통신 시스템의 링크 가용성과 신뢰도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위성-지상 하향 무선 광통신 시스템의 링크 가용성과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대기 손실을 계산하는 모델을 제안하며, 우리나라의 주요 5개의 도시(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에서의 기상 데이터를 활용해 각 도시에서의 월별 링크 가용성과 신뢰도를 장기적 관점에서 정량적으로 예측하였다. 그리고 위치 다이버시티의 적용에 따른 결과 변화도 함께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먼저 위성-지상 하향링크의 이론적 모델링을 논의한다. 대기 손실 중 구름 손실은 액체수함량별 최대 수적 개수밀도를 예상 및 활용하는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측정 데이터로 검증하였으며, 신틸레이션과 에어로졸에 의한 손실 또한 각각을 peak 값으로 계산하도록 모델링하였다. 이후에는 제안된 대기 손실 모델을 활용해 유럽중기예보센터(ECMWF)가 측정한 우리나라 주요 5개 도시에서의 최근 10년간의 기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름 손실과 하향 링크 지속시간의 확률분포함수를 구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도시별ㆍ월별로 구분된 링크 가용성과 링크 신뢰도를 예측하였다. 지상 기지국이 주요 5개 도시 중 한 곳에 위치하며, 대기 손실에 20 dB의 링크 버짓을 할당했을 경우 우리나라 위상-지상 하향 무선 광통신 시스템의 링크 가용성은 35–65%의 수준으로 예상되었다. 이때 연속 3시간의 링크에 대한 링크 신뢰도 또한 40–70%의 수준으로 예측되었다. 위치 다이버시티를 적용했을 경우에 링크 가용성은 여름보다 봄이 개선 정도가 컸으며, 반면 링크 신뢰도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5개 도시 위치 다이버시티의 경우 동일하게 대기 손실에 20 dB의 링크 버짓을 할당했을 때, 링크 가용성은 여름을 제외하고는 약 90%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며 이때 3시간의 하향 링크에 대한 링크 신뢰도는 50~70% 수준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차후 우리나라에 무선 광통신 기지국을 설치할 지역과 개수를 판단할 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무선 광통신▼a대기 손실▼a링크 가용성▼a링크 신뢰도▼a위치 다이버시티-
dc.subject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aAtmospheric loss▼aLink availability▼aLink reliability▼aSite diversity-
dc.title우리나라 위성-지상 하향 무선 광통신 시스템의 링크 가용성과 신뢰도-
dc.title.alternativeLink availability and reliability of satellite-to-ground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 systems in South Korea-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325007-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부,-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Gyu-Wan-
Appears in Collection
EE-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