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 음향 시뮬레이션을 위한 에코 인지 실내 임펄스 응답 추정 기법Echo-aware room impulse response estimation for fast acoustic simulation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90
  • Download : 0
가상 현실 기술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몰입감 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높은 수준의 청감을 재현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고도로 복잡한 가상 공간에서의 정확한 음향 시뮬레이션은 높은 연산량을 요구하므로 여전히 어려운 문제이다. 한편 대화형 가상 현실과 같은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음향 시뮬레이션은 낮은 계산 복잡도를 요구한다. 특히 이미지 소스법과 같은 간단한 기법으로 모델링할 수 있는 초기 반사와는 달리 후기 잔향의 시뮬레이션은 많은 연산량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은 후기 잔향의 시뮬레이션이 가지는 계산 복잡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초기 반사로부터 후기 잔향을 추정하고 합성할 수 있는 미분 가능한 통합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제안한 프레임워크는 초기 반사의 스펙트럴 및 에코 히스토그램 특징을 추출하고 샘플링된 희박 시퀀스와 가우시안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통제된 시간적 질감과 스펙트럴 에너지 분포를 갖는 후기 잔향을 생성한다. 훈련과 평가는 확산적인 후기 잔향뿐만 아니라 좁은 복도에서 일어나는 플러터 에코와 같이 개별 에코가 두드러지는 후기 잔향에서도 이루어진다. 평가 결과는 제안한 프레임워크가 초기 반사만을 이용하여 실내 임펄스 응답의 스펙트럴 에너지와 시간적 질감을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dvisors
최정우researcherChoi, Jung-Woo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부,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23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전기및전자공학부, 2023.2,[vi, 54 p. :]

Keywords

음향 시뮬레이션▼a실내 임펄스 응답▼a에코 밀도▼a플러터 에코▼a심층 신경망; acoustic simulations▼aroom impulse response (RIR)▼aecho density▼aflutter echo▼adeep neural network

URI
http://hdl.handle.net/10203/309474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1032870&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EE-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