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em 10203/305254발전소, 정유정제소 등으로부터 대량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 질소산화물(NOx)만을 선택적으로 분리 및 포집이 가능한 시제품을 연료전지형, 전기분해형의 두 유형으로 개발하여 탈질 설비 적용시설의 질소배출량, 농도, 처리속도에 최적화된 시스템을 구축하여 상용화하는 것이 최종목표이다. 현재 Lab-scale 규모로 제작된 연료전지형 질소산화물 제거장치의 처리용량은 1ton/yr 수준이며, A~D의 단계별 scale-up을 통해 처리용량을 늘리고, 선택적 환원촉매공정(SCR)을 대체하여 다양한 질소 산화물 배출업소에 공급하고자 한다. 기존 탈질설비와는 달리 상온(25°C)에서도 운전이 가능하며 산성 조건에서 성능이 우수하므로 다량의 CO2가 포함된 배기가스에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14
  • Download : 0

Han, Jong-In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건설및환경공학과
Publisher
발전소의 대량배출 가스로 전기를 만들다
Issue Date
2014
Description

kor

URI
http://hdl.handle.net/10203/305254
Appears in Collection
2014 KAIST 대표 연구성과 10선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