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성취도 평가에 대한 한국어 교수자들의 인식 연구A Study of Korean Instructors’ Perceptions on Non-face-to-face Achievement Test.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80
  • Download : 0
본 연구는 코로나 19 발생 이후 지속되어온 비대면 교육 상황에서의 한국어 성취도 평가에 대한 교수자들의 인터뷰를 통해 한국어 성취도 평가에 대한 현황을 진단하고 교수자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비대면 성취도 평가에 대해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한국어 교수자들의 비대면 성취도 평가에 대한 인식은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편이었다. 특히 비대면 평가가 교수자들의 들인 노력에 비해 학습자들이 배운 교육 내용을 제대로 평가하고 있는지, 공정한 시험을 위해 최대한의 노력을 하고 있지만 그 결과를 신뢰할 수 있는지 즉 타당도와 신뢰도에 대한 의문을 표하였고 시행 과정에 대한 번거로움과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반면, 비대면 평가는 기록이 남고 학습자들의 과제나 답안지 등이 LMS 등에 남기 때문에 포트폴리오처럼 보관할 수 있다는 것과 인터넷 기반의 평가를 했을 때 채점이 용이하다는 것, 학습자에게 익숙한 환경에서 시험을 보기 때문에 긴장감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점이 긍정적이라고 말하였다. 교수자들이 이야기한 비대면 평가의 문제점들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던져 준다. 첫째, 평가 유형이나 방식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유연함이 필요하다. 둘째, 비대면 평가 특성에 맞는 시험 문항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정한 시험을 위해서는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기관 차원의 지원 및 교육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효율적인 과제 평가를 위해서 온라인 평가의 특성을 잘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보 공유를 위한 시스템이 마련되면 교수자들과 학습자들의 정서적 불안감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갑작스럽게 찾아온 비대면 교육이라는 초유의 상황 속에서 대학 기관과 교수자들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면서 양질의 교육을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해 왔다. 하지만 비대면 평가는 여전히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다. 이제 위드 코로나라는 새로운 전환점 앞에 서 있지만 비대면 교육은 다양함이 존재하는 이 시대에 또 다른 교육 대안으로 존재하며,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이 공존하는 방향으로 가지 않을까 예측해 본다. 따라서 비대면 평가의 문제점들은 개선하고 좋은 점들은 대면 평가에도 적용해 보면서 새로운 대안적 평가들을 찾아가려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Publisher
어문연구학회
Issue Date
2022-03
Language
Korean
Citation

어문연구, v.111, pp.265 - 297

ISSN
1225-0783
DOI
10.17297/rsll.2022.111..010
URI
http://hdl.handle.net/10203/302678
Appears in Collection
RIMS Journal Paper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