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아카이브 시대, 지능형 전자기록서비스 모델 연구(A) study on the intelligent electronic record service model in the era of digital archive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545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재석-
dc.contributor.advisorYang, Jae-Suk-
dc.contributor.author김주연-
dc.date.accessioned2022-04-15T07:57:01Z-
dc.date.available2022-04-15T07:57:01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963387&flag=dissertationen_US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294917-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과학저널리즘대학원프로그램, 2021.8,[iv, 82 p. :]-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지능형 신기술 현황과 기록관리 분야 신기술 적용 사례의 분석을 통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병행한 전자기록관리 분야의 전문가 인터뷰의 의견을 개진한 실질적인 ‘아카이브의 지능형 정보서비스 적용 방향’을 제안하였다. 미래의 아카이브의 기능과 역할은 ‘파괴적 혁신기반의 국가기록 관리자, 정보 거버넌스 아카이브, 기록과 국민을 상호 연결해주는 코디네이터’이다. 아카이브 디지털 전략 수립 방향은 ‘기록관리의 핵심 가치(투명성, 신뢰성, 기술 지향성)’에 충실하여, 디지털 정부로의 이행, 기록 경영과 디지털 큐레이션의 통합 아카이브 구축, 국내·외 아카이브 공동체와 정보 거버넌스형 연결, 디지털 전환 가이드의 역할 등을 이행하는 데 목표를 삼아야 한다. 이를 통해 디지털 시대 이용자들의 기대치에 부응하여 컬렉션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아울러 지능형 기록정보서비스 기술을 적용하여 ‘머신러닝 파이프라인, 기록관리시스템 연계 활용, 크라우드 소싱을 통한 비정형 데이터, 데이터 특징의 선택 및 추출, 기록정보서비스’ 등의 단계별 대응 전략을 구축해야 한다. 그리고 기록관리 전문가는 데이터베이스와 함께 정보 검색의 디지털 기록 관리 능력을 겸비하여 전자기록관리 전문가들과의 협업이 활성화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디지털 아카이브▼a지능형 서비스▼a전자기록관리▼a빅데이터▼a인공지능▼a컬렉션-
dc.subjectDigital archive▼aIntellignce service▼aElectronic record management▼aBigdata▼aAI(artificial intelligence)▼aCollection-
dc.title디지털 아카이브 시대, 지능형 전자기록서비스 모델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intelligent electronic record service model in the era of digital archives-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325007-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과학저널리즘대학원프로그램,-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Joo-Yeon-
Appears in Collection
SJ-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