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장애 개선을 위한 유기발광다이오드 동물실험 프로토콜 구축 및 파장 효과에 관한 연구(The) effect of OLED lighting wavelength on treating sleep disorder in an animal model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299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경철-
dc.contributor.advisorChoi, Kyung Cheol-
dc.contributor.author채현욱-
dc.date.accessioned2021-05-13T19:34:26Z-
dc.date.available2021-05-13T19:34:26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911413&flag=dissertationen_US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284783-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전기및전자공학부, 2020.2,[v, 46 p. :]-
dc.description.abstract빛과 수면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은 현대인들이 많이 겪고 있는 수면장애를 해결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빛은 망막의 광수용체 세포 내 옵신을 통해 자극을 입력하며, 푸른 빛의 경우 멜라놉신과 반응하여 각성 효과를 낸다는 연구들이 최근 보고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쥐를 이용한 동물 실험을 통해 수면욕구가 가장 높은 시간에서 본 효과를 확인하고, 이보다 긴 파장영역에서도 각성 또는 수면 유도 효과가 있는 지 연구한다. 특히, 빛과 수면의 관계는 일주기 리듬의 메커니즘과 다르므로, 빛의 간접적인 효과인 일주기 리듬이 아닌 직접적인 효과인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수면장애 개선을 위해, 일상생활에서 사용 가능한 안경형 플랫폼의 광원인 투명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연구한다. 특히, 얇은 실버 전극을 포함한 다층박막전극 구조가 높은 투명도를 보여주나 수명 등의 안정성이 떨어지므로, 본 연구에서는 도핑을 이용해 기존 구조 대비 수명을 향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수면장애▼a파장 효과▼a멜라놉신▼a동물실험모델▼a투명 유기발광다이오드▼a다층박막전극▼a도핑▼a수명-
dc.subjectSleep disorders▼aWavelength effect▼aMelanopsin▼aAnimal experimental model▼aTransparent OLED▼aDMD electrode▼aDoping▼aLifetime-
dc.title수면장애 개선을 위한 유기발광다이오드 동물실험 프로토콜 구축 및 파장 효과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OLED lighting wavelength on treating sleep disorder in an animal model-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325007-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부,-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ae, Hyeon Wook-
Appears in Collection
EE-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