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즈모닉 준 밴드갭 기반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효율 향상Efficiency improvement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based on plasmonic quasi-bandgap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207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경철-
dc.contributor.advisorChoi, Kyung Cheol-
dc.contributor.author이태우-
dc.date.accessioned2021-05-12T19:46:59Z-
dc.date.available2021-05-12T19:46:59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927188&flag=dissertationen_US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284528-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전기및전자공학부, 2020.2,[v, 72 p :]-
dc.description.abstract고해상도, 투명 플렉시블과 같은 차세대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디스플레이 장치 개발의 큰 이슈는 광효율 향상과 정확한 색의 구현에 있다. 이중 광 효율 향상을 위해 소자 외부나 내부에 광 추출 구조를 삽입하는 형태의 연구들이 이루어진 바 있다. 하지만 OLED 소자 내, 외부 구조의 삽입은 탁도가 발생하거나 픽셀간의 간섭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또한 소자 구동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야기할 시킬 수 있다. 한편 OLE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청색 광원 물질 효율이 타 광원물질 대비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효율 청색 OLED를 위한 플라즈모닉 준 밴드갭 특성을 갖는 비대칭 유전체-금속-유전체 구조를 활용한 전극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전극을 micro-cavity 소자 및 투명 청색 소자에 적용하여 전기적 측면에서 금속이 갖는 일 함수의 장점을 유지하고 금속 전극이 갖는 광학적 측면의 맹점인 표면 플라즈몬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하여 광추출 효율 향상을 확인하였다.-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유기 발광 다이오드-
dc.subject광추출효율-
dc.subject표면플라즈몬-
dc.subject플라즈모닉 준 밴드갭-
dc.subject마이크로 공진구조-
dc.subject투명 플렉시블-
dc.subject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c.subjectout_coupling efficiency-
dc.subjectsurface plasmon-
dc.subjectplasmonic quasi-bandgap-
dc.subjectmicro-cavity-
dc.subjecttransparent flexible-
dc.title플라즈모닉 준 밴드갭 기반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효율 향상-
dc.title.alternativeEfficiency improvement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based on plasmonic quasi-bandgap-
dc.typeThesis(Ph.D)-
dc.identifier.CNRN325007-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부,-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Tae Woo-
Appears in Collection
EE-Theses_Ph.D.(박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