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우회상장기업의 상장유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The) determinants of persistent listing after reverse takeovers for Korean firm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03
  • Download : 0
우회상장은 비상장기업이 기업공개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줄이면서 상장의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외형기업의 퇴출 및 신규기업의 상장 촉진이라는 긍정적인 의미에도 불구하고 우회상장은 자본이득을 노리는 소수의 투자자에게 악용되며 다수의 선량한 투자자들에게 피해를 입혀 감독당국은 규제를 강화해왔다. 어떤 요인이 우회상장기업이 건전성을 유지하며 상장상태를 지속하는지 아는 것은 시장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하다. 국내 우회상장 기업을 분석한 결과 상장유지를 결정하는 요인에는 단기적으로는 재무구조와 지배구조, 그 밖에 기타 경영과 관련된 사항이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적으로는 단기적으로 영향을 미친 요인들의 효과는 사라지고 외형기업의 규모 만이 영향을 미쳤다. 2006년에 우회상장 규제가 강화되었으나 이후에도 규제로 인한 비용보다 우회상장으로 인한 이득이 커서 규제강화가 불건전한 우회상장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우회상장기업의 상장유지 결정요인에 대해 추가연구가 이루어지고 이를 바탕으로 투자와 규제가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우회상장은 자금조달의 한 형태로 건전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dvisors
박광우researcherPark, Kwangwoo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금융전공,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2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전공, 2012.2,[iv, 33 p. :]

Keywords

우회상장▼a외형기업▼a기업재무구조▼a기업지배구조; Reverse Takeover▼aBackdoor Listing▼aShell Company▼aGoing Public

URI
http://hdl.handle.net/10203/283733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883147&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KGSF-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