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AI음성비서의 지속 이용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continuous use of smartphone AI voice assistant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91
  • Download : 0
본 연구는 Bhattacherjee(2001)의 기대충족모형을 확장시켜 개인의 사회격식성, 개인혁신성 및 기대충족,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만족도가 스마트폰 AI음성비서의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인의 사회격식성에 따라 장소에 따른 사용의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총 21개의 가설을 수립하였고, 17개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특히 사회격식성은 인지된 용이성 및 장소에 따른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혁신성은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및 기대충족에 유의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Bhattacherjee(2001)의 기대충족모형에 없는 인지된 용이성을 매개변수로 정의하여, 인지된 용이성이 만족도,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임을 증명하였다.
Advisors
박병호researcherPark, Byung-ho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정보경영프로그램,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9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정보경영프로그램, 2019.8,[1책 :]

Keywords

스마트폰▼aAI▼a음성비서▼a기대충족모형▼a사회격식성▼a개인혁신성▼a만족도▼a인지된 용이성▼a인지된 유용성; Smartphone▼aAI▼avoice assistant▼aexpectation confirmation model▼asocial formality▼apersonal innovativeness▼asatisfaction▼aperceived usefulness▼aperceived ease of use

URI
http://hdl.handle.net/10203/283699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876127&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MT-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