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신문사 혁신 실패 원인에 관한 연구 : 경제 일간지를 중심으로Why do Korean newspaper companies fail to innovate : a case study of business daily paper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334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상윤-
dc.contributor.advisorSangyoon Yi-
dc.contributor.author김윤진-
dc.date.accessioned2021-05-11T19:30:50Z-
dc.date.available2021-05-11T19:30:50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875130&flag=dissertationen_US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282902-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과학저널리즘대학원프로그램, 2019.8,[60 p. :]-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국내 신문사가 왜 성공적인 디지털 혁신모델을 찾지 못하고 포럼 등 비슷비슷한 부대사업에만 매달리는지, 혁신을 저해하는 외부와 내부 환경 요인이 무엇인지를 경제 일간지 대상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봤다. 경제 일간지를 둘러싼 경쟁은 1997년 IMF 금융위기, 2000년 인터넷 등장 등 주요 전환기를 거치면서 더욱 치열해졌고, 극심한 경쟁환경에서 개별 기업은 불확실성을 완화하고 시장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종합일간지 모방, 인터넷 매체 모방, 상호 모방, 자기 복제로 대응했다. 본 연구는 단순 모방 위주의 전략이 반복되고 의미 있는 혁신이 이뤄지지 못하는 구조적 원인을 밝히는 데 집중했고, 그 과정에서 내, 외부 환경 요인의 상호작용이 ‘기자들의 시간적 여유 부족’으로 귀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자 전문성을 떨어뜨려 상품 차별성을 저해하고, 구매자의 지불 용의를 창출하지 못해 B2C 유료 모델의 실패를 초래했다. 그리고 기업들이 B2C 모델의 실패를 B2B 영업에 의존해 만회하면서 한정된 광고 시장을 둘러싼 경쟁이 더욱 격화되는 악순환의 고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경쟁▼a모방▼a다각화▼a혁신▼a경제 저널리즘▼a신문-
dc.subjectcompetition▼aimitation▼adiversification▼ainnovation▼abusiness journalism▼anewspaper-
dc.title국내 신문사 혁신 실패 원인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Why do Korean newspaper companies fail to innovate : a case study of business daily papers-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325007-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과학저널리즘대학원프로그램,-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Yun Jin-
dc.title.subtitle경제 일간지를 중심으로-
Appears in Collection
SJ-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