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아 세포 계통인 GM-2504 세포에서 microcarrier-배양 방법을 이용한 인터페론 생산에 관한 연구Interferon production in GM-2504 fibroblast cells grown on microcarrier culture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601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변시명-
dc.contributor.advisorByun, Si-Myung-
dc.contributor.author정일엽-
dc.contributor.authorJung, Il-Yup-
dc.date.accessioned2011-12-12T08:55:47Z-
dc.date.available2011-12-12T08:55:47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3680&flag=dissertation-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28149-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생물공학과, 1983.2, [ [vi], 52 p. ]-
dc.description.abstract바이러스 증식과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인터페론이란 단백질을 비롯하여 여러가지 바이러스 백신, 호르몬, 항원 등 의약용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대량 생산하는 데 있어 최근에 새로운 방법으로서 microcarrier 배양 방법이 발전해 왔다. 실험실에서 조직 배양되는 정상적인 동물세포는 반드시 배양용 용기나 접시의 바닥에 붙어 자라는 성질때문에 이러한 세포의 대량 증식은 붙어 자랄 수 있는 표면적에 의해 크게 제한을 받아왔다. 그러나 microcarrier라는 구슬모양의 작은 크기(지름: $160 \mu m-230\mu m$)의 beads는 거의 무제한의 표면적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조직배양에 혁신을 가져왔다. 이 배양 방법을 이용하여 본 실험에서는 세포를 종래의 petri plate 배양방법에서 보다도 3배 가량 증가시켰으며 또한 인터페론의 양도 약 2배 가량 증가시켰다. 이는 microcarrier배양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parameters 를 적절하게 조정해 줌으로써 가능했다. parameters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 microcarrier 배양이 시작될 쯤에 접종시키는 세포의 밀도가 많을수록($1.26 \times 10^5 cells/ml$) 최종 세포 수율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駭?. 또한 beads의 농도와 배양계의 동질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실험실에서 인터페론의 유도물질로서 합성된 숙신산 무수물이 고정화된 collagen은 인터페론 생성능력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kor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title섬유아 세포 계통인 GM-2504 세포에서 microcarrier-배양 방법을 이용한 인터페론 생산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Interferon production in GM-2504 fibroblast cells grown on microcarrier culture-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63680/325007-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 생물공학과, -
dc.identifier.uid000811252-
dc.contributor.localauthor변시명-
dc.contributor.localauthorByun, Si-Myung-
Appears in Collection
BS-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