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자원 정리를 통해 혁신을 달성할 수 있는가? 혁신 효율성 및 혁신의 종류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Do Firms Achieve Innovation through Technological Resource Divestiture? Focused on the Effects of Innovation Efficiency and Innovation Type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229
  • Download : 0
변화하는 환경에 맞추어 끊임없이 학습하는 것은 기업의 지속적 경쟁우위를 위해 필수적이다. 새로운 것을학습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학습하고 쌓아온 것을 정리하고 의도적으로 지워내는 언런(unlearn)이 수반되어야한다. 학자들은 기업이 성공적인 학습을 하기 위해서는 일정 부분 자원을 언런(unlearn)을 위해 투자하여야한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학습을 위해 비워내는 것이 필요하다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많은혁신 연구들은 주로 자원을 취득하고 쌓아가는 측면에 대해 연구해왔으며 자원을 정리하고 버려내는 것과관련한 연구는 드물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의 대표적인 기술자원인 특허에 초점을 맞추어, 기업의 특허 정리활동이 혁신성과에 어떠한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원의 정리는 자산에 대한 일부분 혹은 전체의 판매 내지는 처분을의미하는 것으로, 기술자원 정리는 특허 소유권에 대한 권리를 갱신하지 않고 포기하거나 제 3자에게 그 권리를이전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기업의 기술자원 정리활동이 ‘학습을 위한 언런(unlearn)’으로 작용하여 기업의 혁신성과를 높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는 ‘혁신 효율성’과 ‘탐험적 혁신 및 활용적 혁신’으로대표될 수 있는 혁신의 종류에 주목하여 보았다. 혁신 효율성을 산출하기 위하여 DEA(Data Envelopment Analysis)를 사용하였다. 미국 제약 시장을 바탕으로 다국적 제약기업이 출시한 미국 특허와 신규 의약품을 기반으로 하여 연구가진행되었으며, 해당 데이터는 미국특허청(USPTO) 및 식품의약청(FDA)에서 제공하는 것을 바탕으로 하였다. 2000-2016년에 걸쳐 기업 연도 기준 총 1,128개의 샘플이 수집되었고 해당 기간 기업들이 출원한 특허는 총62,062개였다. 기술자원 정리가 혁신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일반화 추정 방정식 모형(GEE)을사용하였으며, 혁신의 종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일반화적률추정법(GMM)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의 기술자원 정리활동은 혁신 효율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혁신의 종류 중 탐험적 혁신에만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Publisher
대한경영학회
Issue Date
2019-09
Language
Korean
Citation

대한경영학회지, v.32, no.9, pp.1605 - 1632

ISSN
1226-2234
DOI
10.18032/kaaba.2019.32.8.1605
URI
http://hdl.handle.net/10203/271324
Appears in Collection
RIMS Journal Paper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